화성시, 영국왕립표준협회로부터 `스마트시티 국제인증(ISO 37106)' 획득...세계적 수준의 스마트시티로 인정

인증서 수여식 모습. 왼쪽부터 서철모 화성시장, 피터푸 BSI 동북아시아 대표
인증서 수여식 모습. 왼쪽부터 서철모 화성시장, 피터푸 BSI 동북아시아 대표

화성시가 영국왕립표준협회(BSI Group, 이하 BSI)로부터 ‘스마트시티 국제인증(ISO 37106)’을 획득했다.

케임브리지, 피터버러, 두바이 등 세계 유명 도시들을 제치고 세계적인 수준의 스마트시티로 인정을 받은 셈이다.

21일 BSI 등에 따르면 BSI를 통해 세계에서 스마트시티로 인증받은 곳은 세종시, 화성시, 대구시, 고양시 등 국내 4개 도시뿐이다.

앞서 지난 2018년 BSI는 케임브리지, 피터버러, 모스크바, 두바이, 세종시 등을 스마트시티 세계 5대 시범도시로 선정했으나, 인증을 받은 곳은 세종시가 유일했다. 이어 지난해 세계 유명 도시들이 인증 획득을 추진했으나, 화성ㆍ대구ㆍ고양시 등 국내 3곳 도시만 추가로 인증 받았다.

스마트시티 국제인증은 국제표준화기구 ISO가 스마트시티 구축 및 확산을 위해 지난 2018년 제정, 스마트시티 사업성ㆍ성숙도 등을 심사해 세계적인 수준을 갖춘 도시에 부여되며, 인증심사는 BSI가 진행하고 있다.

화성시는 국내 최초 동탄 U-City를 도입, 10년여간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도시비전, 스마트시티 로드맵, 시민 중심 서비스 등 22개 전체 세부항목에서 평균 3(성숙) 이상의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시는 ▲스마트시티 전환 의지 ▲자율주행 기반기술 ▲지능형교통시스템 ▲CCTV 선별관제 시스템 ▲광대역 자가통신망 구축 등 첨단기술 인프라 부문과 빅데이터 대민서비스 플랫폼 ‘화성 데이터로’, 시민주도형 도시계획, 리빙랩(Living Lab) 프로그램 운영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서철모 화성시장은 “스마트시티 국제인증으로 교통, 에너지,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민들이 더 안전하고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됐다”며 “스마트시티 구현으로 화성시가 더 살기 좋은 도시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스마트시티 국제인증은 3년간 유효하며, 매년 중간 평가를 통해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계획 이행과 유지 현황에 대한 점검이 이뤄진다.

화성=박수철ㆍ이상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