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주택·전면 재개발…성남 태평2ㆍ4동 ‘동상이몽’

성남 본시가지인 수정구 태평2ㆍ4동에서 가로주택정비사업(가로주택)과 전면 재개발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상충하고 있어 성남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5일 성남시 등에 따르면 총 2천700여세대, 28만㎡ 규모의 이곳은 지난 2012년 2020 정비기본계획에 선정돼 순환공영재개발방식으로 사업이 추진됐다.

그러나 부동산경기 침체로 그 다음해인 2013년 LH가 사업을 포기하면서 구역 지정에서 해제됐다. 지난 2016년부터는 국비 등 90억원이 투입돼 주차장 조성 등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주민들은 “도시재생사업만으로는 삶의 질이 향상되지 않는다”며 지난해 5월 수립된 새로운 2030 정비기본계획에 포함을 요구했었다.

하지만 태평2ㆍ4동은 이미 구역에서 해제된데다 다른 재개발지역에 밀려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게 성남시의 설명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 5월부터 주민들은 가로주택을 주장하고 있다. 가로주택은 6m 도시계획도로로 둘러싼 면적 1만㎡ 내 낡은 건물을 허물고 최고 지상 15층 공동주택을 짓는 소규모 사업으로 절차가 간소하고 재개발보다 진행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태평 2ㆍ4동 공영가로주택 추진위(추진위)’는 우여곡절 끝에 지난달 중순 총 24개 구역 중 2개 구역의 조합설립동의서를 성남시로부터 받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추진위 관계자는 “언제까지 재개발을 기다릴 순 없다”며 “민간 사업자의 신축 빌라가 난립하면 재개발도 안 되기에 속도가 빠른 가로주택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주민들은 전면 재개발을 주장하고 있다. 2030 정비기본계획은 오는 2024년 중간 평가 격인 타당성 보완 검토가 이뤄진다. 이때 이곳이 포함돼야 한다는 것이다.

‘태평2ㆍ4동 재개발 운동본부’ 관계자는 “가로주택이 모두 완성되려면 40년 이상 걸린다. 난개발이 우려된다”며 “가로주택은 세입자대책과 기반시설 구축 등이 없어 재개발만이 답”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성남시 관계자는 “가로주택과 재개발 중 어떤 게 좋은 지에 대해 성남시가 정해줄 순 없다. 타당성 보완 검토에 따라 태평2ㆍ4동이 선정될지도 확답을 줄 수 없다”며 “일단 가로주택과 관련해선 내년 5월 나오는 용역 결과에 따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추진위는 지난 5월 말 총 24개 구역 중 6개 구역의 조합설립동의서를 신청했으나 성남시는 난개발 우려를 이유로 이를 반려한 바 있다. 집단민원이 제기되자 국토부 자문을 받은 성남시는 기존 입장을 뒤엎고 구역 2곳의 조합설립동의서를 발급했다.

성남=문민석ㆍ이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