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논란 빚은 대규모 폐기물처리시설 백지화

용인시가 최근 논란이 된 대규모 폐기물처리시설 설치를 백지화하기로 했다.

백군기 용인시장은 6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설치 관련 실시간 시민과의 대화’에서 “(처리시설 입지) 후보지로 신청한 희망지역 2곳을 포함한 4곳에 대해 입지선정위에 상정하지 않겠다”며 이처럼 밝혔다.

용인시는 다만 향후 도시발전에 따른 인구 증가와 생활환경 변화로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고 폐기물처리시설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 생활폐기물 처리대란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용인환경센터 2·3호기 사용기한이 만료되는 오는 2025년 설치 희망지역을 새로 모집하거나, 운영이 중단되는 2·3호기를 대보수할 지 여부를 해당 지역 주민과 주민지원협의체 협의 등을 통해 결정, 오는 2022년 수립할 용인시 제4차 폐기물처리 기본계획에 반영한다는 것이다.

백 시장이 이처럼 결정을 내린 건 소각시설 설치문제가 지역갈등으로 이어져, 용인시를 분열시키고 시민의 자긍심을 훼손시키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시급한 플랫폼시티 개발과 관련, 백 시장은 “관련 법률에 의거, 인접 시와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30t 규모의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을 설치하도록 하겠다”며 “설치 시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시설 복합화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용인시는 앞으로 30만㎡ 이상의 대단위 개발사업 시 해당 사업자가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을 설치하는 방안과 적정한 장소에 통합해 설치하는 방안을 공신력 있는 전문기관에 의뢰, 시민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정책방향을 결정할 방침이다.

백 시장은 사용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대규모 소각시설과 관련, “민선6기에 수립된 제3차 폐기물처리기본계획에 의해 추진된 환경기초시설 확충 등 안정적인 폐기물 처리를 위해 시급한 당면 과제를 해결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용인시는 하루 처리용량 200t 규모인 용인환경센터 2·3호기 대체시설을 조속히 설치하고, 기존 2호기와 3호기 운영은 중단할 방침이다.

지난 2005년 준공된 2·3호기 시설은 노후화로 소각효율이 78%까지 떨어진 데다 사용기한이 2025년으로 얼마 남지 않은 만큼 그 이전에 대보수 또는 대체시설 건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백 시장은 “(처리시설 설치는) 향후 인구 증가에 따른 처리 용량까지 확보하기 위해 어렵지만 불가피하고 시급한 사업이라는 점을 깊이 헤아려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용인=강한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