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 대응 '플랜B' 수립

양철민 의원

수도권매립지가 오는 2025년 사용종료 예정인 가운데, 경기도가 쓰레기를 자체 처리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수립했다.

경기도는 2025년까지 9개 시ㆍ군에 소각시설을 확충하고, 매립시설이 없는 22개 시ㆍ군을 4개 권역으로 묶어 매립율이 낮은 5개 시ㆍ군과 품앗이 매립을 협의ㆍ지원할 계획이다.

15일 경기도와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도 환경국은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에 대비하기 위한 도 대응방안(플랜B)을 마련했다.

현재 경기ㆍ인천ㆍ서울의 쓰레기가 반입되는 수도권매립지는 오는 2025년 사용이 끝날 예정이다. 이에 도는 소각시설의 경우 시설이 없거나 처리용량이 부족한 시ㆍ군, 민간위탁 의존도가 높은 시ㆍ군에 대해 2025년까지 소각시설 조기확충을 독려한다는 방침이다. 도의 2026년 예상소각량은 5천259t/일 규모로, 현재 소각시설 소각용량 4천216t/일 대비 1천43t/일(20%)이 부족하다. 도는 2025년까지 도내 9개 시ㆍ군에 1천300t/일 규모로 소각시설을 신ㆍ증설한다는 계획이다.

또 폐기물처리시설 신ㆍ증설에 대해 도비 보조금(단독 설치시 시ㆍ군비의 10%, 광역화 시설의 경우 시ㆍ군비의 30%)을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이와 함께 매립시설이 없는 22개 시ㆍ군을 4개 권역(동부, 서부, 남부, 북부)으로 구분한 뒤, 현재 매립률이 60% 이하인 매립시설 보유 5개 시ㆍ군(남양주, 양평, 용인ㆍ안성, 파주)과 품앗이 매립을 협의ㆍ지원하는 방향도 고려 중이다. 매립시설이 부족하거나 없는 시ㆍ군에 대한 신ㆍ증설 확보 독려도 계획에 포함했다.

한편 도와 인천ㆍ서울시, 환경부 등 4자 협의체는 오는 17일 환경부 주관 대체매립지확보추진단 회의에서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와 관련된 논의를 할 예정이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