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경기도교육감 이재정 그는 누구인가?

[LIFE HISTORY Who 그는 누구인가]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당선인
인권회복 이끌던 목회자 ‘경기교육’ 수장으로…

무려 6명의 후보가 난립, 치열한 경쟁을 벌인 6ㆍ4 경기도교육감 선거에서 당당히 당선, 앞으로 4년간 경기교육을 이끌게된 이재정.

목회자 출신으로 민주화 운동과 인권회복 운동 등을 이끌며 국내 대표 진보성향 인사 중 하나로 강단 있을 법한 외모와는 달리 다소 유하고 푸근한 성격을 가졌다. 하지만 불의와 맞서 싸우거나 정의를 위한 소신을 펼칠때는 그 어느누구와 타협하지 않고 불도저 처럼 추진시키는 ‘사나이’ 다운 성품도 함께 갖고 있다.

■ 시골출생. 무상교육운동

1944년 3월 1일 충남 입장에서 출생해 부모님의 고향인 충북 진천에서 성장했다. 진천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1956년부터 서울에 유학하여 경기중학교를 거쳐 경기고등학교를 1962년에 졸업하였다.

1962년 고향에서 (관인)신명학원을 설립하여 중학교 진학을 못한 학생들을 위한 무상 중등과정교육을 3년간 운영하였다. 1965년 뒤늦게 고려대학교에 진학하여 1969년 2월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 목회자에서 총장까지

스승과 주변의 권유로 성공회 성미가엘신학원에 입학하여 3년간의 교육과정을 마친 후 1972년 대한성공회 사제가 되었다. 마침 유신 쿠데타가 일어난 직후였기 때문에 유신반대 투쟁에 참가하면서 교계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특히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의 교회와 사회위원회 및 인권위원회 임원 그리고 한국기독학생총연맹의 이사장 등을 역임하면서 민주화와 사회정의 그리고 인권회복을 위한 활동에 헌신하였다.

1982년에 강화교회에서의 목회를 끝으로 캐나다에 유학하여 매니토바대학교 대학원, 토론토대학교 트리니티대학 대학원에서 종교학 석사와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88년 귀국하였다. 귀국 이후 신영복 교수, 조희연 교수 등과 함께 성공회대학교를 세워 가는데 헌신하였으며 1994년에는 초대 총장이 되었다.

당시 성공회대학교가 역사와 사회에 열린 대학으로서 새로운 변화와 대안을 창출하는 진보적 학문을 이룩하기 위하여 진보학문의 학파를 만드는데 진력하였다.

■ 민간사회단체 활동

성공회대학교 총장 시기 한국기독교회협의회 통일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89년 스위스 글리온에서 열린 남북교회 및 세계교회대표들이 참석하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협의회에 참석하는 것을 시작으로 워싱턴, 토론토, 동경 등지에서 열린 기독교계의 남북회담에 한국대표로 참가하였으며 민간단체인 남북농업발전협력협회의 이사장으로서 남북관계 발전에 기여했다.

1998년 7월에는 서울시노숙자대책협의회 위원장을 역임하면서 당시 외환위기로 맞은 경제적 어려움 속에 노숙자가 된 사람들에게 희망과 미래를 열어 사회에 복귀하는 운동을 벌였으며 같은 해 8월에는 감사원 부정방지대책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99년 5월에는 대통령 직속 사법개혁추진위원에 임명되어 6개월간 사법개혁추진계획을 성안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그리고 1999년 3월에는 ㈔국민정치연구회 이사장에 선임되어 새로운 정치를 이룩하기 위한 시민단체의 대표가 되었다.

■ 정치 입문, 장관 역임

1999년 김대중 대통령의 요청을 받아 새로운 국민정당을 창당하기 위한 신당추진위원회의 총무위원장으로 참여해 2000년 새천년민주당을 창당하고 초대 정책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제16대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어 교육위원회 간사로서 교육개혁과 정치개혁에 기여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선거 당시 노무현 후보를 위해 후보 경선과정부터 참여,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유세연수본부장으로 활동했다.

2003년에는 열린우리당을 창당하는 과정에서 총무위원장으로서 새로운 정당을 만드는데 중심 역할을 했으며 2004년에 대통령선거과정에서 불법 선거자금을 전달했다는 죄목으로 기소되어 벌금형의 유죄판결을 받기도 했다.

그 후 2004년 10월24일에는 대통령을 의장으로 하는 헌법기관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에 임명되어 2006년까지 평화통일운동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2006년 12월 제33대 통일부장관으로 임명을 받아 중단되었던 남북장관급 회담을 재개하는 한편 남북철도를 개통하고 열차 시험운행은 물론 남북열차 정기운행 등의 성과를 거뒀다.

2007년 10월 열린 남북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남북정상회담 준비 기획단장으로 정상회담의 준비과정부터 정상회담 진행과 배석 및 정상회담의 후속조치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실무를 책임지고 총괄하였다. 장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남북관계는 모든 기록을 경신하여 금강산 관광, 개성관광, 개성공업지구의 활성화와 남북경협의 확대 등을 추진했다.

■ 후학들을 위한 연구와 교육

정권교체로 2008년 2월말 정부에서 물러난 후 노무현 대통령의 뜻으로 설립한 한국미래발전연구원 이사장, 노무현 재단 이사 등을 역임하였고 정치적으로는 2010년 국민참여당의 초대 대표 등을 맡으면서 새로운 정치 개혁과 참여정치의 역사를 만드는데 기여했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들을 위한 연구와 교육에 열중하는 한편, 노무현재단 104남북정상선언기념특위 위원장, ㈔코리아연구원 이사장 등을 맡고 있다. 또한 (협)은빛기획의 이사장으로서 노년의 삶을 위한 프로그램과 자서전 출판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박수철이지현기자 jhlee@kyeonggi.com


이것만은 꼭 하겠습니다

“생명 존중 가르치고 안전 지키는 혁신교육 실현”

이재정 당선자는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겠다’는 슬로건으로 자신의 교육 공약을 선거기간 내내 설파했다. 모든 아이들이 행복할 수 있는 교육을 실현하겠다는 그의 의지는 8대 비전과 31개 정책 약속으로 구체화됐는데, 그가 꿈꾸는 경기교육의 미래는 8대 비전에 잘 드러나 있다.

■ 생명의 소중함을 가르치는 인성교육

생명의 소중함은 가슴으로 느껴야 한다는 의미에서 교육은 우리 아이들의 생명을 가슴으로 느끼게 해주는 가장 중요한 일이다. 학교는 더 따뜻하고 안전한 공간이어야 한다. 생명윤리 가치의 교육을 최우선으로 하여 학교를 안전하고 따뜻한 공간으로 만들어나가겠다.

■ 한 발 더 나아가는 경기혁신교육

혁신학교는 학교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새롭게 일깨워 주었다. 경기혁신교육은 우리 교육의 대안이다. 이제 혁신학교의 성과를 모두 함께 나누고 새롭게 도약할 때이다. 보다 깊고 넓게 학부모와 도민에게 경기혁신교육으로 보답하겠다.

■ 도전하는 학생, 행복한 성장

학생은 행복하게 성장해야 한다. 더불어 더 넓은 세상을 향해 도전해나가야 한다. 그럴 때 그 꿈이 이뤄진다. 세상을 향해 도전할 줄 아는 학생으로 키워나가겠다.

■ 학부모의 고민과 근심을 덜어주는 민생교육

내 아이의 교육비가 부담스럽다. 내 아이와 학교의 교육정보도 쉽게 찾을 수 없다. 학교폭력에 대한 근심도 크다. 이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자녀교육에 대해 책임지겠다. 학부모님이 편안하시도록 만들겠다.

■ 당당한 선생님, 바로 서는 교권

교사가 신이 나면 우리 아이가 신이 난다. 교사가 행복해야 학생도 행복해진다. 교사가 바로서야 학생도 제대로 키워낸다. 교사가 교사답게 성장하고 우리 아이들도 제대로 성장하기 위해 교사를 온 몸으로 섬기겠다.

■ 함께 만드는 또 다른 학교, 마을교육공동체

아이는 마을에서 자란다. 학교는 아이들이 살아가는 마을이다. 아이들의 삶과 마을에서의 활동은 하나다. 아이와 부모와 지역 주민을 위해 마을과 학교가 교육적으로 어우러지는 마을교육공동체를 추진하겠다.

■ 차별 없는 교육, 앞서 가는 교육복지

아이들은 차별 받지 말아야 한다. 교육에서는 차별이 없어야 한다. 교육복지는 이런 차별을 극복하도록 돕는다. 그래서 교육복지는 더 따뜻하고 넓게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무상급식으로 시작된 교육복지를 보다 의미 있게 추진하겠다.

■ 튼튼한 교육재정, 합리적 교육행정

교육청은 학생과 학교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 학생과 학교를 진정으로 도우려면 주어진 돈과 일하는 방식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재정을 2조원 이상 확보하고, 교육청의 조직과 인사를 혁신해 학생과 학교를 위한 교육청으로 탈바꿈시키겠다.

 

학력

- 경기고등학교 졸업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독문학과 졸업(문학사)

- 대한성공회 성미가엘신학원 3년과정 졸업

- 캐나다 매니토바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석사)

-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트리니티칼리지 신학박사

-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트리니티대학(명예박사학위)

경력

▲ (전) 성미가엘신학원 및 천신신학교 조교수

▲ (전) 경기도 강화군 강화유치원 원장

▲ (전) 천신신학교/성공회신학교 교장

▲ (전) 성공회대학교 초대 및 2대 총장

▲ (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이사

▲ (전) 학교법인 경기대학교 이사(관선)

▲ (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실행위원

▲ (전) 한국기독학생총연맹 이사장

▲ (전) 감사원 부정방지대책위원회 위원장

▲ (전) 대통령 직속 사법개혁추진위원회 위원

▲ (전) 새천년민주당 정책위 초대 의장

▲ (전) 제16대 국회의원/국회 교육위원회 간사

▲ (전) 열린우리당 창당준비위 총무위원장

▲ (전) 헌법기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제12대 수석부의장

▲ (전) 제33대 통일부 장관

▲ (전) 국민참여당 초대 대표

▲ (현)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

▲ (현) (재)노무현재단 이사

▲ (현) ㈔한국라보 이사장

▲ (현) (재)심도학원(강화유치원) 이사장

▲ (현) ㈔코리아연구원 이사장

▲ (현) ㈔이상설 선생 기념사업회 이사장

▲ (현) (협)은빛기획 이사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