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가 오는 16일부터 고속도로 운행 광역버스의 입석운행이 금지됨에 따라 노선별 교통대책을 내놓았다.
시는 성남에서 서울과 안양, 수원 등 도내를 오가는 성남시 관할 버스 11개 노선을 8개 노선으로 통폐합하고, 버스 20대를 증차해 125대를 운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성남∼서울을 오가는 고속도로 운행버스는 5개 노선(8101, 9607, 9003, 9007, 9300) ▲성남∼안양을 오가는 고속화도로 운행버스는 2개 노선(333, 3330) ▲성남∼수원을 오가는 성남시 관할 버스는 1개 노선(4000)이 운영된다.
성남∼강남역을 오가던 8131번, 1121번 노선은 8101번(18대) 노선으로 통합돼 용인 단국대∼고속도로∼강남역을 오간다.
성남∼삼성역을 오가던 9407번 버스는 9607번(12대) 노선으로 통합돼 분당 구미동∼분당수서간고속화도로∼서울 청담동을 왕복한다.
이밖에 9003번 1대, 9007번 6대, 9300번 3대, 333번 4대, 3330번 6대 등 5개 노선별로 각각 증차 운행한다.
시는 또 출근시간대(오전 7∼8시) 서울로 가는 광역급행버스 M4102번(미금역∼숭례문) 노선에 출근 전세버스 14대를 추가 투입한다.
이 전세버스는 분당 미금역(6대), 서현역(3대), 이매촌 한신(5대) 정류장에서 각각 서울역 방면으로 출발한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