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세 지역상인 ‘사즉생’ 배수진 인천시·부평구도 전방위 압박
부천시 강행 속 신세계百 눈치 대형 유통사 영업망 확대 제동
대책위 “골목상권 상생 전환점”
지역상권의 반발과 지방자치단체 간 갈등 등으로 표류하던 부천 신세계백화점 건립이 결국 무산됐다. 소상공인들의 무산 환영 속에, 대형유통업계의 근심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 부천 신세계, 2년 만에 무산
부천시는 2015년 10월 영상문화단지 복합개발 민간사업 우선협상자로 신세계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그러나 인근 지역 전통시장 상인들의 반발 등으로 사업이 진척되지 못했다. 부천시와 가까운 인천 부평지역 상권이 붕괴한다며 인천시도 반대했다.
이에 신세계는 대형 할인매장과 복합쇼핑몰을 빼고 규모를 7만6천여㎡에서 3만7천여㎡로 대폭 축소해 백화점만 짓기로 계획을 변경했다. 하지만 인천시와 지역 상권의 반발은 계속됐고, 부천시와 신세계의 부지 매매 계약은 계속 연기됐다.
신세계는 지난 6월 상생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 공감대를 형성한 뒤 계약을 진행하겠다는 내용을 부천시에 전달했다. 이를 부천시가 받아들이면서 사업 추진의 불씨는 이어졌지만, 이번 고비는 넘지 못했다.
김만수 부천시장은 지난 23일 “신세계는 30일까지 백화점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하라”고 ‘최후통첩’했다.
이튿날인 24일 정용진 부회장은 “지역 단체장끼리의 갈등이 해소돼야 들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만수 부천시장은 31일 “신세계그룹은 백화점 건립을 위한 토지매매계약 체결 기한까지 계약을 맺지 않았다”며 “사업 협약 불이행에 따른 협약이행보증금 115억원과 기회비용을 청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부천 신세계 건립은 백지화됐다.
◇ 지자체 반발·규제에 대형유통시설 신규 출점 ‘먹구름’
유통업계는 부천 신세계 건립 무산 소식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지역상권과의 갈등 등으로 대형 유통시설의 신규 출점이 차질을 빚고 있다.
신세계는 부천 외에 광주에서도 복합시설물 건축이 주변 상인 반발로 인허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롯데 상암 복합쇼핑몰은 지역 반발로 건립 허가를 받지 못하면서 소송전으로 확대됐다.
정부는 내년부터 복합쇼핑몰에 대해서도 대형마트 수준의 영업제한 등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 대선 공약에는 복합쇼핑몰과 관련해 ▲ 도시계획단계에서부터 입지 제한 ▲ 오전 0시∼10시 영업시간 제한 ▲ 매월 공휴일 중 2일 의무 휴무일 지정 등이 들어있다.
◇ 인천 부평지역 반응
부천·삼산동 신세계복합쇼핑몰 입점저지 인천대책위원회 는 31일 무산을 환영하는 성명을 냈다. 대책위는 “이번 신세계 사건은 우리 사회에 큰 과제를 던져 주었다. 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한 사회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경제정의가 반듯이 실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전국적으로 유통재벌들의 무차별적인 골목상권 침탈은 지금도 전국적으로 20여 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우리는 이번 신세계의 출점 포기가 좋은 사례가 되어 롯데, 현대 등 다른 대기업들에게도 전파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