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지역 유치원생들이 집단 식중독 증세(경기일보 17일자 인터넷)를 보인 가운데 보건당국 역학조사에서 이중 14명이 일명 ‘햄버거병’으로 의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보건당국은 25일 오후 6시 기준으로 안산시 A 유치원에서 식중독 증상을 보여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모두 31명이라고 밝혔다. 입원 환자 중 14명은 장 출혈성 대장균으로 인한 합병증 중 하나인 용혈성요독증후군(HUSㆍ일명 햄버거병) 의심 증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신장 기능 등이 나빠진 5명은 투석 치료를 받고 있다. 나머지 17명은 ‘햄버거병’ 의심 증세는 없으나 설사, 복통, 발열 등 증세로 입원 중이다.
앞서 지난 16일 A 유치원에서 집단 설사 등의 식중독 사고가 최초 보고된 이후 총 100명의 식중독 유증상자가 확인됐다. 경기도와 안산시 보건당국은 등은 역학조사 및 방역 조치에 나섰으며, 원아 184명과 교직원 18명 등 202명의 검체를 채취해 전수조사했다. 가족 58명과 식자재 납품업체 직원 3명 등 84명의 관련자에 대해서도 검사를 벌이고 있다.
현재까지 원아 42명과 교사 1명으로부터 장출혈성 대장균이 검출됐으며, 147명은 음성 판정이 나왔다. 96명은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A 유치원은 지난 19일부터 이달 30일까지 폐쇄 명령이 내려졌다.
경기도 관계자는 “사안이 시급하다고 판단, 질병관리본부와 협조체계를 구축해 역학조사를 하고 있다”며 “추가 감염을 차단하고 원인 분석을 하는 데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투석중인 5세 아이 엄마라고 밝힌 시민이 ‘햄버거병을 유발시킨 A유치원이 2년전에도 급식비리 등 감사 걸린 유치원’이라는 글을 올려 1만600명(25일 오후 6시30분 현재)이 동의했다.
햄버거병은 1982년 미국에서 덜 익힌 패티가 든 햄버거를 먹은 어린이 수십명이 HUS에 집단 감염되면서 ‘햄버거병’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햄버거병 환자의 절반 정도가 투석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신장 기능이 망가지기도 한다.
구재원ㆍ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