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악한 교통·편의시설... 살기 불편해서 떠나요 [무너진 1기 신도시 中]

각종 편의시설 없어 서울로 원정... 주차 문제 심각, 교육시설 부족
몇년 안에 ‘슬럼화 현상’ 불 보듯 “인구 유출막기 위한 대책 시급”

(해당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이미지투데이

 

#1. 중학교 1학년 딸을 둔 박준희씨(49·가명·여)는 내년 중으로 군포시를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사할 계획이다. 10년 전 아이를 키우기 좋다고 판단해 산본으로 이사했지만 아이가 클수록 걱정도 함께 자라나고 있어서다. 산본은 기본적인 시설도 갖춰져 있고 조용한 편이라 어린아이를 키우기엔 적당한 곳이었다. 하지만 아이가 중학교를 진학하면서부터 다른 지역과 교육 격차를 느끼기 시작했고 아이 친구들의 부모들도 교육 문제로 하나둘씩 산본을 떠났다. 박씨 역시 고등학교 진학과 학원 등 교육 문제를 고민하다 서둘러 이사 계획을 세운 상황이다. 

 

#2. 고향이 부천 중동인 유세진씨(29·가명)는 1년 전 고향을 떠나 서울에 살고 있다. 직장과 가까운 것도 있지만 부천에 오랜 기간 살면서 불편함을 느꼈기 때문이다. 서울과 인천 등으로 나가는 수많은 차량 탓에 밤낮 없이 교통 체증에 시달려야 했으며 편의시설 역시 바로 옆인 서울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 유씨는 “중동이 노후화된 것은 물론이고 각종 편의시설 공간이 없어 그동안 불편함을 감수하고 서울로 원정을 떠나던 일이 잦았다”며 “앞으로 결혼과 노후 등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을 고려했을 때 부천을 떠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이사한 것”이라고 말했다.

 

군포시 산본·성남시 분당·안양시 평촌·부천시 중동·고양시 일산 등 경기도내 1기 신도시가 인구 유출로 흔들리고 있다. 열악한 인프라, 고질적인 교통 문제, 부족한 교육 시설 등으로 1기 신도시를 등지고 떠나는 시민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이르면 수년 안에 ‘슬럼화 현상’이 생길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더이상 사람들은 단순히 ‘배드타운’ 역할만 하는 도시에 살고 싶어 하지 않는다. 더 다양한, 거주할 만한 매력 지녀야 사람들이 머물게 되는 것”이라며 “인구 유출 상황이 지속되면 도시 활력이 저하돼 슬럼화 현상까지 나타날 수 있다.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구체화된 인프라 구축과 인구 유입을 위한 새로운 일자리 등 시설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