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시, 모든 시민에 '재난기본소득' 25만원씩 지급…"지자체중 최고액"

경기 이천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움을 겪는 모든 시민에게 재난기본소득 15만 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엄태준 이천시장은 26일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어 "코로나19로 인한 지역경제 위기상황이 IMF 때보다 더 심각하게 느껴지고 있어 지역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긴급재정지원(재난기본소득)이 꼭 필요하다"며 "모든 이천시민에게 1인당 15만 원씩 지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천시가 시민 1인당 15만 원이라는 재난기본소득을 책정하면서 경기도가 지급하는 10만 원을 더하면 총 25만 원이 지원되는 셈. 이는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는 지자체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 엄 시장은 "긴급재정지원금이 이천시민에게 지원되면 3개월 동안 이천시 실물경제 시장에 약 540억원의 수요가 창출돼 그만큼 경제가 활성화되고 또 다른 수요가 창출돼 이천 지역경제에 의미 있는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천시 재난기본소득은 지급일로부터 3개월이 지나면 소멸하는 지역화폐로 다음 달 지원한다. 지급 대상은 이날부터 신청일까지 이천시에 주민등록을 둔 시민 전체다. 지난달 말 현재 이천시 인구는 21만5천869명으로 재난기본소득 지급에 324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시는 추산했다. 재원은 모두 순세계잉여금에서 마련하기로 했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 24일 전 도민에 10만 원씩의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하기로 했으며 여주시와 광명시도 25일 각각 10만 원과 5만 원의 재난기본소득 지급 계획을 발표했다. 이천=김정오 기자

[아이들에겐 가족이 가장 좋은 울타리입니다] “가정위탁 보호종료아동, 기간 연장·자립수당 지급 필요”

본인이 지난해 수행한 국가인권위원회의 「보호종결아동의 자립증진을 위한 정책개선 연구」에 의하면 보호종료아동이 제기한 자립과정의 어려움은 첫째 경제적인 어려움, 둘째 일상생활 중 식사해결의 어려움, 셋째 대학생활의 어려움이다. 특히 가정위탁 보호종료아동이 제기한 자립과정의 어려움은 국민기초생활수급권 유지의 어려움이다.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인 보호종료아동이 근로소득이 발생하면 수급금액이 차감되거나 수급자에서 탈락할 수가 있다. 보호종료아동은 이를 방지하고자 수급비가 차감되지 않는 범위의 적은 급여를 주는 아르바이트 자리를 찾거나 소득으로 잡히지 않도록 현금을 받는 등의 방법을 쓰는 경우가 많다. 결과적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권의 유지를 위해 양질의 일자리를 갖지 못하고 장기적으로는 경제적인 어려움에 부닥칠 위험이 더 커지게 된다. 경제적인 자립 기반이 약한 보호종료아동의 자립을 위해서 보호종료아동의 경우 기초수급권 기준의 완화와 기초수급자 소득공제의 수준이 더 높아져야 한다. 위 연구에서 가정위탁지원센터의 자립지원전담요원이 제기한 가정위탁 보호종료아동의 자립과정의 문제는 가정위탁 보호종료아동의 대리부모 역부양이다. 가정위탁 중 60~70%가 대리양육가정위탁(친조부모 또는 외조부모와 함께 생활)이다. 가정위탁아동이 자립을 할 나이가 되면 대리양육가정위탁의 친조부모 또는 외조부모는 70~80세 정도의 나이가 돼 그들이 가정위탁아동의 보호자가 되기보다는 오히려 아동이 그들을 부양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가정위탁 보호종료아동의 자립증진을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복지법 제16조에 의하면 보호종료아동은 대학 재학 등의 사유로 보호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가정위탁 보호종료아동의 경우 보호기간 연장의 사유와 기간을 확대ㆍ연장해 취업이나 취업 준비 등의 사유로 가정위탁 보호대상아동이 보호기간 연장을 요청하는 경우 3년 이내의 범위에서 보호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아동복지법을 개정해야 한다. 둘째, 가정위탁 보호종료아동을 포함한 모든 보호종료아동에게 보호종료 후 5년 동안 자립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자립수당은 2019년 3월 보호종료 후 경제적 어려움으로 자립 지연을 경험하는 보호종료아동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도입됐다. 올해부터는 지원대상을 확대하여 2년 이상 연속하여 보호를 받은 만 24세를 넘지 않은 모든 보호종료아동에게 자립수당을 지급하고, 보호종료 후 5년 동안 자립수당을 지급하여 보호종료아동의 안정적인 사회정착과 자립성공률을 높여야 한다. 또한 자립수당 지급 대상자의 다양한 문제와 욕구에 대한 사례관리를 연계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자립수당 지급대상자는 연 1회 이상 주민등록 상 주소지 읍ㆍ면ㆍ동 주민센터의 사회복지공무원과 상담을 하고, 이를 통해 자립수당 지급대상자가 요청하는 경우 가정위탁지원센터의 자립지원전담요원을 연계하여 전문적인 사례관리 서비스가 제공돼야 한다. 셋째, 최근 증가하고 있는 경계선 지적기능 보호대상아동에 대한 자립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은 25세 미만이고 지능지수가 71 이상 84 이하인 사람으로 자립 능력이 부족한 아동을 의미한다. 시ㆍ군ㆍㆍ구에서는 보호대상아동의 보호결정 과정에서 경계선 지적기능 관련 선별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아울러 경계선 기적기능 아동의 낮은 지적수준을 고려한 자립준비 프로그램의 세부 매뉴얼을 개발해야 한다. 일반아동보다 인지수준이 낮은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의 개별능력을 고려해 학습내용, 학습시간, 학습환경 등을 조성하고,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에 대한 보호체계 및 사례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에 대한 보호기간이 연장돼야 한다. 김형모 한국아동복지학회장ㆍ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금요미식회] 수원의 면요리 대가로 자리잡은 <청춘면가>…사골과 닭뼈 기반 육수에 흑임자 면발 가득

보기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다고 음식에는 맛 이상으로 외양도 중요하다. 특히 면 요리는 육수에서 우러나는 맛, 면의 질감 이상으로 국과 면이 빚어내는 외양의 아름다움도 평가에 큰 영향을 끼친다. 이때 면의 색깔이 일반적인 흰색이나 노란색이 아니라 검은색과 회색을 띠고 있다면 어떤 느낌일까? 분명한건 좋고 나쁨을 떠나서 생소한 느낌이 적지 않을 것이다. 어두운 면발과 칼칼한 국물, 그리고 푸짐한 재료들로 수원 면요리의 대가로 자리잡은 청춘면가가 지난 2~3년 간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다. 청춘면가는 면을 만들 때 밀가루에 의존하지 않고 흑임자를 5~8% 가량 섞어 만든다. 이때 흑임자는 맛에 영향을 끼치기보다는 외양과 촉감, 영양에 큰 영향을 끼친다. 겉보기엔 어두운 빛깔을 띠고 있어 이질감을 선사하나 일반 면과 비교할 때 맛에 큰 차이가 없다. 또, 굵은 면발 형태를 갖추고 있어 식감이 푸짐한데다 흑임자 내 칼륨, 인, 레시틴, 셀레늄 등의 성분 덕분에 소화 부담이 적은 편이다. 청춘면가는 보통 하루 240인분(35㎏) 규모의 밀가루와 흑임자를 반죽해 손님맞이에 나서고 있다. 닭발 20㎏과 사골 10㎏으로 우려내 건새우로 감칠맛을 더한 육수도 빼놓을 수 없다. 육수는 크게 맛있닭, 맛있소(이상 9천원)에 쓰이는 구수한 육수와 맵닭, 맵소(이상 1만원)에 쓰이는 매운 육수로 나뉜다. 구수한 육수는 숙주, 표고, 파, 호박, 양파, 당근 등이 중심이 돼 하얀 색 국물을 만들어내며 매운 육수는 청량고추, 프릭끼누(베트남 고추) 등으로 얼큰한 맛을 더했다. 사이드 메뉴인 돼지고기튀김도 빼놓을 수 없다. 탕수육과 달리 튀김옷을 밀가루가 아닌 감자와 옥수수 전분을 이용해 영양가와 고소함 모두를 잡았다. 내용물인 고기도 두툼해 가격 6천원이 아깝지 않다. 이 같은 노하우는 공준권 대표(39)가 지난 20년 간 익혀온 노하우에서 비롯됐다. 학창시절부터 중국집 배달과 국수집 매니저 등을 거쳐온 그는 원룸에서 살던 20대 시절 집에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지금의 조리법을 만들어냈다. 공 대표는 주말마다 200여팀 이상 방문하기 때문에 힘들면서도 분에 넘치는 고민을 하고 있어 행복하다라며 면생면사를 표방해 온 인생인만큼 앞으로도 맛있는 면요리로 찾아뵙겠다라고 말했다. 권오탁기자

방탄소년단, 코로나19 극복 위한 美 '제임스 코든쇼' 스페셜 방송 출연

그룹 방탄소년단이 미국의 인기 심야 토크쇼인 '제임스 코든쇼' 스페셜 방송에 출연한다. 미국 CBS '더 레이트 레이트 쇼 위드 제임스 코든(이하 '제임스 코든쇼')' 측은 25일(이하 현지시간) "방탄소년단이 3월 30일 방송되는 '제임스 코든쇼'의 스페셜 방송인 '홈페스트: 제임스 코든스 레이트 레이트 쇼 스페셜(HOMEFEST: JAMES CORDENS LATE LATE SHOW SPECIAL)'에 출연한다"고 밝혔다. 이날 방송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의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기획되었다. 사람들 간 거리두기를 위해 사람들을 하나로 모으자는 취지로 제임스 코든이 자신의 차고에서 음악과 엔터테인먼트 분야 유명 인사들과 나눈 인터뷰가 담길 예정이다. 한국에서는 방탄소년단이 대표로 나서고, 이탈리아에서는 성악가 안드레아 보첼리(Andrea Bocelli), 영국에서는 두아 리파(Dua Lipa), LA에서는 빌리 아일리시(Billie Eilish)와 피니즈(FINNEAS), 존 레전드(John Legend) 등이 각자의 집에서 음악과 퍼포먼스를 선사한다. 세계적인 마술사 데이비드 블레인(David Blaine), 할리우드 코미디 배우 윌 페렐(Will Ferrell) 등도 등장해 특별한 모습을 보여줄 예정이다. '제임스 코든쇼' 제작진은 "최근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이런 시기에 어떻게 방송을 만들면 좋을지 다양한 방법에 대해 고민을 했다"고 밝혔다. 이어 "멋진 게스트들의 도움으로 우리가 제작할 수 있는 최고의 방송을 만들어 즐거움을 주고, 이런 상황에서 어딘가에서 응원이 필요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프로그램 취지를 설명했다. 방탄소년단의 '제임스 코든쇼' 출연은 이번이 다섯 번째다. 2018년 6월과 2017년 11월 각각 'FAKE LOVE'와 'DNA' 무대를 펼쳤고, 지난 1월에는 정규 4집 'MAP OF THE SOUL : 7'의 선공개 곡 'Black Swan' 무대를 전 세계 최초로 선보이며 시청자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 또한 지난 2월에는 '제임스 코든쇼'의 인기 코너인 '카풀 카라오케'에도 출연해 큰 화제를 모았다. 장영준 기자

경기도 수출기업 10곳 중 7곳 ‘코로나19’ 피해, 수출자금지원 확대 희망

경기도 내 수출기업 10곳 중 7곳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기업이 수출지원사업 확대, 자금지원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코로나19로 수출과 경영에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의 목소리를 청취하기 위해 도내 수출기업 303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2월 27일부터 3월 12일까지 전화이메일을 통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현장 체감도를 설문조사한 결과, 70% 이상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FTA활용센터, 경기도수출기업협회 등 민관 합동으로 운영 중인 수출애로통합지원센터 및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을 활용했다. 그 결과를 보면 응답기업의 70%가 피해가 있다고 답했으며 느끼는 피해 심각도(10점 만점)는 수입(6.3점)보다 수출(7.5점)이 컸다. 피해 유형으로 부품자재 수급애로 및 계약취소(58%)와 행사취소(18%)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 기업들이 가장 지원받길 희망하는 경기도 지원정책으로는 경영자금 지원 59%, 세제지원 21%로 응답기업 80%가량 자금운영을 꼽았다. 아울러 수출지원사업의 다양화, 지원대상 조건 완화 등 경기도가 운영하는 수출지원사업 확대에 대한 필요성을 호소했으며 해결방안으로 ▲해외전시회 개별참가 지원(16%) ▲해외규격인증 획득 지원(12%) ▲온라인 해외 마케팅 지원(10%) 등을 희망한다고 응답했다. 이밖에 중국외 수출시장 다변화 희망국가 조사에서는 동남아시아(36%)를 가장 선호했으며 이어 유럽(18%), 북미(15%)가 그 뒤를 이었다. 이에 도는 수출기업의 애로 해소를 위해 올해 긴급히 1회 추가경정예산을 편성, 수출 채널 다양화, 각종 지원사업 확대 등 적극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도는 우선 해외 각종 수출상담회전시회 등이 연기취소됨에 따라 비대면으로 바이어와 수출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올해 1회 추경예산에 온라인 수출상담 화상서비스 지원 신규 사업 예산 3억 7천만 원, 글로벌 B2C 및 SNS 활용 판매 및 마케팅 지원 확대 시행을 위한 예산 2억 5천만 원, 테마별품목별 온라인 전시회 추진을 위한 사업비 3억 원을 편성했다. 아울러 이번 추경에 9억 원을 추가 편성, 총 13억 5천만 원을 투입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수출피해 중소기업의 수출보험 및 보증료를 지원한다. 코로나19 피해기업에는 지원 한도를 기존 12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상향 우대하고 안정적 수출여건 조성을 위해 단체보험 가입도 지원한다. 자금지원과 관련해서는 지난 2월부터 총 2천억 원 규모(중소기업 1천500억 원, 소상공인 500억 원)의 코로나19 특별자금을 업체당 최대 5억 원 이내(소상공인 업체당 1억 원 이내)로 지원 중이다. 경기신용보증재단을 통해서는 코로나19 관련 보증을 약 2조 원 규모로 지원하고 대출금 상환 여력이 부족한 기업을 위해 분할상환 2회차까지 원금상환 유예를 실시하고 있다. 김규식 경기도 경제기획관은 이번 긴급조치로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수출 중소기업의 활로를 여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현장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실질적인 대응책을 마련시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창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