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철, 공공갈등 원활한 조정 해결 위해 '국가공론위원회' 설립

공공갈등의 원활한 조정과 해결을 위해 국가공론위원회를 설립하는 법률안이 국회에 제출돼 통과여부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 전해철 경기도당위원장(안산 상록갑)은 15일 공공갈등의 원활한 조정 및 해결을 위한 ‘국가공론위원회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법률안은 사회적 갈등 이슈를 상시 조정하는 컨트롤타워를 설치, 문제 해결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자는 취지를 담고 있다. 정부가 공공정책을 추진할 경우 정책 특성에 따라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관여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편익과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당사자들 간 갈등을 관리하지 못할 경우 자칫 심각한 문제로 확산, 사회적으로 큰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앞서 4대 강 보 개방, 반구대 암각화, 밀양 송전탑 등 사업에서 발생한 사회적 갈등이 사회통합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지난 2013년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사회갈등 수준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27개국 중 두 번째로 심각한 수준이며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연간 82조~246조 원으로 추산됐다. 또 지난해 현대경제연구원은 우리나라의 사회적 갈등 수준이 OECD 평균 수준으로 개선되면 실질 GDP가 0.2%p가량 추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 도당위원장이 제출한 법률안은 상시적 갈등 조정 기구 설치를 골자로 한다. 특히 국무총리 소속으로 국가공론위원회를 설치·운영하고 총 사업비 5천억 원 이상인 사업 등에 대해 공공토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그 결과에 대해 국가가 적극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전 도당위원장은 “갈등이 사회적으로 크게 확산할 경우에는 쉽게 해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소모되는 사회적 비용도 크다”면서 “공공갈등의 효과적인 예방 및 해결을 통해 사회통합을 도모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송우일기자

국민-바른, 통합 논의 군불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중도보수’를 매개로 한 통합 논의에 군불을 때고 있다. 양 당 대표는 서로에 대한 호감을 숨기지 않으며 훈풍을 불러일으키는가 하면, 양당 의원들은 모임을 개최하고 정책의 차이점을 줄여나가기 위한 작업에 착수한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15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바른정당과) 서로 협력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면서 “지향점이 중도개혁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많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가장 먼저 할 부분은 정책적인 부분”이라며 “함께 생각을 맞춰보고 공조할 부분들은 함께 공조해 나가는 노력부터가 시작이다”라고 말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도 오전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이제 진지한 대화를 시작하고 있다”면서 “정책 연대를 위한 공통분모를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서로 ‘국가 미래를 위해 힘을 합쳐보자’는 취지니까 협력이라고 표현하는 게 제일 정확하다”며 “선거 연대, 당의 통합으로 발전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이런 가운데 양당 의원 모임인 국민통합포럼은 16일 세미나를 열고 햇볕정책 등 외교·안보 분야 정책의 차이점을 좁혀나갈 계획이다. ‘중도’를 매개로 접점을 넓혀가고 있는 양 당은 현재 외교·안보 정책이 통합의 최대 걸림돌로 분석되고 있다. 국민의당은 당의 한 축인 호남권 중진 의원들을 중심으로 남북 간 교류 협력을 중시하는 햇볕정책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바른정당은 대북 압박 강화 등 강경노선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럼을 이끌고 있는 국민의당 이언주 의원(광명을)은 이날 본보와의 통화에서 “우리 당의 외교·안보 정책인 ‘햇볕정책 3.0’은 바른정당의 정책과 사실 차이가 거의 없다”며 “각 당의 정책에 대한 인식을 서로 공유하고 미래지향적인 정책 발전 방향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구윤모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