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동반성장 R&D사업 실시

경기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거래 관행을 개선하고 동반성장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해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R&D 사업을 시행한다. 도는 8일 대기업 또는 중견기업 등 수요처에서 구매 조건부로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에 대해 중소기업이 이를 개발, 제품을 다시 수요처에 납품하는 방식의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R&D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도는 대기업·중견기업 등 수요처의 신청을 받아 기술개발이 지원되는 수요조사과제와 중소기업이 자체 기술을 대기업·중견기업 등 수요처에 제안해 지원하는 기업제안과제에 대해 지원키로 했다. 수요조사과제는 과제당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기업제안과제는 최대 1억 원까지를 기술개발자금으로 지원한다. 도는 수요조사과제와 관련, 대기업·중견기업 등의 기술 수요를 발굴하고자 오는 21일까지 기술 수요조사를 하고 28일부터 4월 27일까지 기술개발이 가능한 중소기업으로부터 R&D 사업계획서를 접수할 계획이다. 기업제안과제의 응모기간은 28일부터 4월 27일이다. 길관국 도 공정경제과장은 “대·중견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기술개발 단계부터 대기업, 중견기업 등 기술 수요처의 참여가 필요하다”며 “사업에 참여하는 중소기업은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기술 수요처와 협업해 개발한 제품을 시장에 유통할 수 있는 판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지난해 이 사업을 통해 협력과제 4건을 발굴, 중소기업에 기술개발 및 상용화 과정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했다. 정일형기자

경기도,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도모, 적정공사비 책정 등 추진

경기도가 지역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해 공공분야 발주사업의 적정 공사비 책정을 도모한다.또한, 도는 지역 자재 및 장비 사용을 권장하고 있음에도 그동안 집행력 한계에 부딪혔던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조례’를 실효화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도는 8일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김동근 행정2부지사를 위원장으로 하는 2017년도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추진위원회 정기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위원회는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조례 적용 강화 및 시군 조례 제·개정 추진, 지역건설산업활성화 시군 정책회의 개최 지원, 공공분야 발주사업 적정 공사비 확보책 마련, 건설근로자 고용안정 및 기능훈련 지원, 건설산업발전 유공자 표창 수여 등의 내용을 담은 올해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추진 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 2009년부터 제정·시행 중인 지역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조례가 집행력 한계에 봉착했다는 지적을 해결하기 위해 조례 이행실적을 먼저 점검하기로 했다.오는 7월부터 지역 자재 및 장비 사용률을 조사해 각 시군에 사용 목표율을 제시하고 12월에는 지역건설업체 참여율을 점검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건설사업 활성화 조례를 아직 제정하지 않은 4개 시에 대해서도 조례 제정을 적극 권장, 지도할 방침이다, 더불어 도는 건설업체의 채산성 및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적격심사제 낙찰 하한율의 상향 조정을 행정자치부에 건의하고 표준시장 단가를 100억 원 이상 모든 건설공사에 적용하기로 했다. 다만, 100억 원 미만 건설공사는 표준품셈을 적용해 제값 받고 제대로 일하는 건설문화를 정착시켜 나갈 방침이다. 이 밖에도 도는 건설근로자의 고용안정과 기능훈련 지원 차원에서 고용부에 추가적인 무료취업지원센터 설치를 건의하고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에서 시행하는 건설근로자 기능향상 공모사업 참여를 적극적으로 지원키로 했다. 김동근 부지사는 “건설산업이 활성화되면 다른 실물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라며 “지역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해 여건 및 제도 개선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민간 하도급 전담부서 설치, 원·하도급 상생협의체 설치·운영, 수목병해충 방제공사 전문건설업 참여, 뉴스테이 등 주거용지 조성사업에 대한 기부채납 완화, 전기공사의 분리발주 준수, 건설기계 관련 불법행위 단속 강화, 정기적 노·사·정 합동안전점검 시행 등 다양한 사항이 건의됐으며, 도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 중앙정부 및 관련 기관과 지속적으로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 정일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