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11월 컨테이너 물동량 역대 최대 갱신

인천항 11월 컨테이너 물동량이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인천항만공사는 올해 11월 인천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이 25만2천513TEU로 집계됐다고 25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21만236TEU보다 20.1% 증가한 수치다. 특히 지난 10월 월별 최대기록인 25만1천TEU를 달성한지 한달만에 다시 월 최대 물동량 실적을 갱신했다. 올해 누적 물동량은 241만6천294TEU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7% 증가했다. 11월 전체 물동량 가운데 수입화물은 12만8천963TEU로, 지난해보다 23.6%(2만4천628TEU) 늘었으며, 수출화물은 12만902TEU로 16.6%(1만7천211TEU) 늘었다. 환적 및 연안 물동량은 각각 1천947TEU, 702TEU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대(對) 중국 물동량(15만7천666TEU)이 22.2%(2만8천633TEU) 늘었으며, 베트남 물동량(2만2천198TEU)도 27.0%(4천720TEU) 증가했다. 물동량이 증가한 주요품목(점유율)은 방직용 섬유(43%), 전기기기 부품(18%), 목재류(4%) 등이며, 수출보다 수입량이 크게 늘었다. 11월 벌크화물 물동량은 석유화학제품의 수출 감소, 동절기 국내건설 경기 둔화에 따른 모래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1.6% 감소한 1천1만t(RT)을 기록했다. 홍경원 공사 운영본부장은 “11월 물동량이 늘어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내년 설(구정)이 예년보다 빨라 설 물동량이 조금 이른 시기에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김미경기자

IBITP, ‘희망이음프로젝트 시상식’서 3개 부문 장관상 수상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이하 IBITP)는 지난 23일 오후 서울 삼정호텔에서 열린 ‘2016년 희망이음 프로젝트 시상식’에서 3개 분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25일 밝혔다. 희망이음 프로젝트는 대학생이 지역 기업을 탐방하고 후기를 작성하면 해외연수의 기회를 주는 등 지역 우수기업과 청년 인재를 잇는 사업이다. 인천에서 ‘기업 탐방 우수 후기’ 부문 장관상은 인하대 학생들로 구성된 ‘취그널 팀’이 수상했다. 취그널 팀은 화장품 제조업체인 ㈜나투젠(대표이사 손영기) 기업 탐방 보고서로 대기업에 가려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고 있는 알짜배기 기업을 새롭게 조명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 희망이음 프로젝트 인천지역 서포터즈로 활동해 온 ‘미추홀릭3rd 팀’은 ‘서포터즈’ 부문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들은 온·오프라인 프로모션과 라이브방송, 블로그, 페이스북 등 공식 SNS채널을 활용해 대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왕성한 홍보활동을 벌여 높은 점수를 받았다. ‘기업인’ 부문 장관상은 ㈜가인화장품 송홍종 대표에게 돌아갔다. 송 대표는 지난 2014년부터 청년 직장 체험 등 희망이음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박윤배 IBITP 원장은 “희망이음 프로젝트를 더욱 활성화해 지역 기업과 우수한 청년 인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덕현기자

아시아나항공, 장거리 노선에 A380 투입

아시아나항공이 6번째 A380을 장거리 노선인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추가 투입하기로 했다. 아시아나항공은 6번째 A380을 26일부터 동계 성수기 기간 동안 인천~시드니 노선에 한시적으로 투입한 뒤 내년 3월부터 인천~프랑크푸르트 구간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25일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은 6대의 A380을 미국 LA(일 2회), 뉴욕(일 1회), 독일 프랑크푸르트(일 1회) 등 장거리 노선에 사용할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 2014년 5월 A380을 처음 도입했다. 대형 항공기인 A380은 퍼스트 12석, 비즈니스 66석, 이코노미 417석 등 총 495석으로 돼 있다. 특히 A380은 좌석 효율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퍼스트 클래스는 세계 최대 32인치 개인용 모니터와 국내 최초로 좌석입구에 트윈 슬라이딩 도어를 장착해 승객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준다. 비즈니스 클래스는 180° 수평으로 펼쳐지는 침대형 시트와 지그재그형 좌석배열로 출입이 자유롭고, 이코노미 클래스도 슬림시트를 장착해 34인치의 넓은 좌석간격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 항공기보다 편리하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밖에도 내년부터 차세대 중대형 항공기 A350 30대와 2019년부터 2025년까지 A321-NEO 25대를 순차 도입할 계획이다. 김미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