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포천~철원 잇는 주상전리길 조성

경기도와 강원도의 상생협력 사업의 하나로 임진강 합수지점인 연천~포천~철원을 잇는 주상절리길 조성이 오는 2018년 완공된다. 26일 도북부청에 따르면 도는 강원도와 상생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적벽과 주상절리 등 한탄강 전체의 빼어난 경관을 한꺼번에 감상할 수 있는 ‘한탄강 주상절리길’(80㎞) 조성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연천ㆍ포천ㆍ철원 등 3개 지자체 내에 끊어진 탐방로를 연결하고 임진강을 가로지르는 인도교 2개를 건설해 관광벨트로 만드는 것이다. 현재 단절구간은 군부대 사격장이 있는 한탄강댐 부근의 연천 청산면∼포천 창수면 24㎞와 포천과 철원 경계지역 22.75㎞ 등 36.75㎞이다. 양도는 3개 시ㆍ군에 361억 원(경기 241억 원ㆍ강원 120억 원)을 지원해 이르면 오는 2018년 전 구간 탐방로를 연결한다는 방침이다. 인도교는 협곡이 아름다운 포천 용화천과 철원 대교천에 설치되며 용화천에는 30억 원을 들여 길이 125m 폭 2.5m로, 대교천에는 길이 195m 폭 3m의 인도교를 놓는다. 주상절리길 중간 지점인 포천∼철원 35㎞ 구간에는 강 양쪽에 탐방로가 만들어진다. 대표적인 관광명소는 포천과 철원 1.5㎞에 걸쳐 높이 20∼30m 현무암 협곡이 펼쳐진 대교천 협곡을 비롯해 화강암 바위가 짚단을 쌓아놓은 것처럼 생긴 화적연(禾積淵), 현무암 침식으로 형성된 비둘기낭, 수백 개의 돌베개를 가로로 쌓아놓은 듯 독특한 형상을 한 아우라지 베개용암 등이 있다. 한탄강의 적벽과 주상절리는 고원생대부터 신생대 4기까지 오랫동안 형성된 지층이다. 내륙에서 보기 어려운 화산암지대로 선캄브리아기ㆍ고생대ㆍ중생대ㆍ신생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암석이 분포하는 등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뛰어나 지난 2월 환경부가 자연공원법에 따라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했다. 김창학기자

경기도시공사, 다산신도시 주상복합용지 민간사업자 공모

경기도시공사는 남양주 다산신도시(진건지구)내 주상복합용지(주상1)의 복합개발을 위한 민간사업자를 공모한다고 26일 밝혔다.공모방식은 사업신청자가 제안하는 사업계획과 가격을 평가해 용지 공급대상자를 선정하는 민간사업자 공모방식으로 참가 자격은 단독 또는 5개 법인이내 컨소시엄이다. 공모대상지의 총 면적은 4만2천545㎡이며 용적률 350% 이하(주거부문 300% 이하), 건폐율 60% 이하, 최고층수 30층 이하로 용도지역은 일반상업지역이다.총 967세대의 아파트 및 상업시설을 건설할 수 있고 상업시설에는 대형마트, 전문점, 백화점, 쇼핑센터, 복합쇼핑몰 등의 판매시설이 입점 가능하다.2022년 개통 예정인 별내선 다산역(가칭) 개통시 20분 내 서울 진입이 가능하고 30분이면 강남권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왕숙천 주변 수변공원에서 선형공원을 거쳐 중앙공원 및 문재산으로 이어지는 녹지축과 인접해 있고 초등학교ㆍ중학교ㆍ고등학교 등의 편리한 교육환경을 갖추고 있다.공모일정은 5월25일 사전등록, 7월25일 공모신청서 접수 후 7월말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되고 9~10월경 사업협약 및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자세한 사항은 경기도시공사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gico.or.kr)를 통해 확인하거나 경기도시공사 다산신도시사업단 다산총괄부(031-570-2405)로 문의하면 된다.최원재기자

인천시, 음폐수(음식물탈리액) 분사소각 처리 신기술 도입

인천시는 고온의 소각온도를 이용해 음식물류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음폐수(음식물탈리액)를 분사소각 처리하는 신기술을 도입한다고 26일 밝혔다. 올해 상반기 중 송도자원환경센터에 도입될 계획인 음폐수 분사소각 처리기술은 음식물류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음폐수를 고액분리기를 사용해 부유물질 농도와 조대물질 크기를 조절한 후, 음폐수분사 특수노즐을 통해 소각로 온도와 자동 연계해 900℃이상 고온의 열로 소각 처리하는 방식이다. 2차 처리물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 처리가 가능한 신기술이다. 시는 이 신기술 도입을 위해 지난 3월 음폐수 분사소각 관련 특허업체와 사용협약을 체결한데 이어 올해 상반기 중으로 음폐수 분사소각 설비 설치공사를 완료한 후, 시운전을 거쳐 1일 최대 음폐수 140톤을 분사소각 방식으로 처리할 예정이다. 음폐수 분사소각 신기술이 도입되면 음식물류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음폐수를 수도권매립지 등에 위탁·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고농도 음폐수 처리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이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 관계자는 “음폐수 분사소각 처리 신기술이 본격 운영되는 2017년부터는 음폐수 위탁 처리비, 음식물류폐기물 수처리시설 폐쇄에 따른 운영비 등이 절감될 것”이라며, “이로 인한 효율적인 시설 개선 및 관리를 통한 저비용·고효율 체계 구축으로 연간 약 18억원의 예산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유제홍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