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마을교육 공동체’ 구성의 오류

우리 민족은 ‘아이를 낳으면 온 마을이 키운다’는 아름다운 전통을 갖고 있다. 그런 맥락에서 경기도 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마을교육 공동체’는 매력적인 네이밍임에는 틀림 없다. 추진 내용을 보면 ‘경기교육 자원봉사 센터’와 ‘경기교육 협동조합’, ‘꿈의 학교’를 담고 있다. 하지만 일선 학교의 교원들은 냉담을 넘어 무관심에 가깝다고 한다. 왜 이렇게 됐을까. 일선 학교 교원과 학부모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현장을 외면한 전략의 실패다. 마을교육 공동체는 교육활동의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이어야 하는데 본말이 전도됐다. 무늬만 멋있고 실체가 모호하다 보니 정체성 부재다. 뜬구름 잡는 듯한 레토릭에 불과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다 보니 수요 측면에서 움직여야 할 학부모와 학생이 외면하고 일선 교원들이 무관심하니 정책이 제대로 추진될 리가 없다. 이것이야말로 획일화이며 선택권 박탈이다. 둘째, 사회권(社會權·social right)에 기반을 둔 학교 협동조합과 꿈의 학교 공모사업은 이권이 개입되고, 교육활동을 외주 주는 데 대한 역설로 교원사회의 정서적 직무 피동성이 유발되었다. 더불어 학교 경영에 시민사회를 돈으로 포섭해서 상업화시킨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더 나아가 이권 사업을 통해 시민조직을 기업의 형식으로 변환시키고, 시민 조직의 구성원들을 기업화된 주체로 주조하게 되는 것에 대한 반감이 매우 크다. 셋째, 교원과 학부모, 학생의 외면이다. 도교육청과 지역교육청, 학교로 수직적 관계에서 무슨 소리냐고 의아해할 수 있다. 이는 학교문화의 이해심 부족에서 기인한다. 기본적으로 학교라는 사회는 자율성과 독립성에 바탕하며 교사 개개인이 판·검사 수준의 독립적인 기능을 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다수 교원이 공감하지 않는 정책은 그들의 반대에 무용지물이 되기 십상이다. 과거 열린 교육이 그랬고 혁신교육이 같은 신세다. 신기묘산(神技妙算)의 정책도 구성원의 동의가 전제되지 않으면 바퀴 빠진 수레를 끌고 가기보다 더 어려워지는 것은 동서고금의 진리다. 교육감이 밀어붙이고 교육장을 닦달한다고 되는 게 아니다. ‘표현의 자유’의 내재적 한계라서 다 상술할 수는 없으나 ‘마을교육 공동체’ 예산은 홍수 수준이고 기타 사업 부서는 가뭄 수준이라 한다. 이래서 담당자들은 가성비(價性比)를 따져 예산을 대폭 감액하여야 한다고 아우성인데 ‘첫 번째 펭귄’이 아쉽다. 넷째, 박지성을 선수로 뽑아 놓고 물주전자를 나르게 하는 꼴이다. 우리나라 인재 5%에 든다는 교원들을 배제하고 교육의 문제해결을 학교 밖에서 찾는 우(愚)를 범하는 현실이 안타깝다. 학교현장을 모른다고 고백한 교육감의 말대로 놀라운 둔감력(鈍感力)이다. 이러한 상황은 특정 이념으로 짙게 물든 밀실 교육정책의 한계로써 ‘구성의 오류’다. ‘마을교육 공동체’가 암벽 위 소나무처럼 위태한데 교육감 임기와 함께 고사할 것이라는 대다수 교원의 여론이다. 공공선택론에 따르면 선출직은 공사 충돌 시 공익보다는 사익을 선택한다고 한다. 재정 사회주의에서 말하는 ‘공유의 비극(tragedy of the commons)’이 오버랩 되는 것은 필자만의 기우일까. 김기연 前 평택교육장

IBK기업銀 “인정사정 볼 것 없다”

프로배구 화성 IBK기업은행이 대전 KGC인삼공사를 11연패의 늪에 빠트리며 2위로 올라섰다. IBK기업은행은 16일 화성종합실내체육관에서 열린 2015-2016 NH농협 V리그 여자부 홈경기에서 리즈 맥마혼(29점)과 김희진(14점)의 활약을 앞세워 헤일리 스펠만(19점)이 분전한 KGC인삼공사를 3대0(25-20 25-18 25-20)으로 완파했다. 이날 승리로 2연승을 질주한 IBK기업은행은 승점 25(8승6패)를 마크하며 인천 흥국생명(승점 24)을 제치고 3위에서 2위로 한 계단 뛰어올랐다. 특히, IBK기업은행은 올 시즌 KGC인삼공사와의 세 차례 맞대결에서 모두 승리하며 ‘천적’의 면모를 과시했다. 반면, ‘꼴찌’ KGC인삼공사는 11연패의 수렁에 빠지며 여전히 승점 5(1승13패)에 머물렀다. 1세트에서 내리 3점을 뺏기며 불안한 출발을 보인 IBK기업은행은 한 점씩을 주고 받는 시소게임을 펼치며 팽팽하게 맞섰다.하지만 IBK기업은행은 17-16에서 맥마혼의 연속 공격과 김사니의 오픈, 김유리의 블로킹으로 내리 6점을 뽑아내며 점수 차를 벌렸다. IBK기업은행은 김희진의 백어택으로 잡은 24-18 매치포인트에서 2점을 뺏기며 잠시 주춤했지만 주포 맥마혼이 오픈 공격을 성공시키며 기선을 제압했다. 맥마혼은 1세트에서만 11득점을 기록했다. IBK기업은행은 2세트에서 더욱 활발한 공격을 펼쳤다. IBK기업은행은 12-10으로 앞선 상황에서 상대 리시브가 흔들리는 틈을 타 박정아의 시간차, 맥마혼의 오픈 공격이 잇따라 성공하면서 KGC인삼공사의 추격을 뿌리쳤다.3세트에서 17-12로 앞서던 IBK기업은행은 KGC인삼공사에 18-18로 동점을 허용해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박정아의 오픈 공격에 이어 랠리 끝에 맥마혼의 시간차 공격, 김희진의 후위공격이 잇따라 성공하면서 25-20으로 승리를 챙겼다. 홍완식기자

때리면 꽂힌다… 최종병기 ‘OK 서브’

프로배구 코트에 ‘대포알 서브군단’이 떴다. 올 시즌 남자부 선두를 달리고 있는 안산 OK저축은행이다.2라운드 한 때 4연패에 빠지며 선두 자리를 위협받았던 OK저축은행은 지난 15일 구미 박정희체육관에서 열린 구미 KB손해보험과의 원정 경기에서 3대0(25-16 25-21 25-17) 완승을 거두고 4연승을 달리며 승점 38을 기록, 오는 25일 올스타전을 앞두고 전반기 1위를 확정지었다. OK저축은행의 고공행진 비결은 단연 서브다. 특히 로버트 랜디 시몬이 때리는 강서브는 최고 시속이 130㎞ 안팎으로 형성돼 상대 선수들에게는 그야말로 공포의 대상이다. 시몬, 송명근 등이 연신 강서브를 날리는 OK저축은행의 세트당 평균 서브는 1.47개로 이 부문 리그 1위다. 2위 대전 삼성화재(1.4개)와 비교하면 별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리그 평균이 0.9개인 점을 고려하면 더욱 두드러진다. OK저축은행의 무기인 강서브에는 역설이 있다. 체력 소모가 심하고 범실이 잦다는 것이다. 실제로 선수들은 강서브를 계속하다 보면 체력이 눈에 띄게 떨어지고 무릎, 등에 무리가 올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또 강서브는 상대 수비진을 윽박지르는 효과는 있지만, 코트 밖으로 나가거나 네트를 넘기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김세진 OK저축은행 감독은 아랑곳하지 않는다. 서브는 공격의 시작이자 다른 선수의 도움 없이 혼자 득점을 올릴 수 있는 유일한 ‘전술’이기 때문이다. 김 감독이 매 경기를 앞두고 “서브를 통해 상대 수비진을 흔들겠다”고 입버릇처럼 말하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다. 서브 개인 순위에서도 당연히 OK저축은행 선수들이 상위권을 점령하고 있다. 시몬이 세트당 평균 0.48개로 리그 2위, 송명근이 0.27개로 4위를 달리고 있다. 김규민(0.25개), 박원빈(0.14개), 송희채(0.14개)도 20위권 안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김 감독은 “우리는 서브가 잘 들어가야 이기는 팀이다”라며 “서브가 잘 들어가면 다른 부분도 잘 된다. 덕분에 최근에는 선수들의 자신감까지 올라가고 있다”고 말했다.조성필기자

산통 끝에 ‘中企간 경쟁제품’ 확정

그 어느 때보다 논란이 많았던 공공조달시장 적용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이 확정됐다.의견 제출 기간을 거쳐 이달 말 고시될 예정인 가운데 진정한 의미의 대기업ㆍ중소기업 상생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6일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중기청은 최근 부처간 협의와 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가구ㆍ금속ㆍ기계 등 12개 산업군 204개 제품을 공공조달시장에 적용되는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으로 선정했다.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으로 선정되면 공공기관은 해당 물품을 구입할 때 대기업 및 유통업체를 배제하고 해당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자간의 제한 경쟁을 통해 조달하게 된다. 앞서 지난 7월 중소기업중앙회를 통해 신청된 제품은 총 236개였으나, 자진 취소 및 공청회, 부처간 협의 등을 거치면서 204개로 정리됐다. 이번에 지정된 품목 내역을 보면 볼라드, 차양, 이동식화장실, 컴퓨터서버, 동영상제작서비스 등 13개 제품이 신규 선정됐다. 특히 컴퓨터서버의 경우 기존 대기업의 영역에서 중소기업으로 넘어오며 중소기업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 평이다. 반면 애자(고압 전선 등에 사용하는 절연체), 전기스탠드, 고무발포단열재 등 19개 제품은 지정 취소됐다. 이번에 지정된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은 내년부터 오는 2018년까지 3년간 적용된다. 중기청은 오는 23일까지 의견청취를 거친 뒤 이달 말께 최종 공고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이번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선정을 앞두고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는 점은 옥에 티로 꼽힌다. 우선 기존에 경쟁제품으로 지정돼 있던 제품들이 생산업체수 부족 등을 이유로 지정 해제되면서 논란이 일었다.한 업계 관계자는 “이번에 지정 해제된 애자 같은 경우, 국내 수요가 한국전력이나 코레일 등에 한정돼 있어 보다 높은 수준의 보호가 필요함에도 적용 대상에서 빠졌다”며 “이로 인해 품질이 떨어지는 값싼 중국산 제품 유입이 늘어나고 그만큼 결함 발생 가능성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대기업에서 컴퓨터, 교육기기 등 일부 품목에 대한 지정 취소를 요구하면서 중소기업계의 반발이 이어지기도 했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제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대립각을 세우라고 만든 것이 아니다”면서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해 갈등을 반복하는 것이 아닌 진정한 의미의 상생을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관주기자

집밥 열풍에도 우린 배달의 민족? 가구당 식비 절반은 ‘외식비’ 지출

요리 관련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면서 ‘집밥’ 열풍이 거세지만, 최근 한국인은 식비의 절반가량을 음식을 사먹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16일 발표한 ‘2015 식품 소비량 및 소비행태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식비는 50만9천430원으로 이 가운데 42%(21만4천163원)가 외식ㆍ배달에 지출됐다. 세부적으로는 외식에 15만3천477원(30.1%), 테이크아웃을 포함한 배달에 6만686원(11.9%)을 지출했다.나머지는 신선농산물(18만3천126원)과 가공식품(11만2천141원)을 사는 데 썼다. 특히 1인 가구의 배달ㆍ외식비 비중은 55.1%로 절반을 넘어섰다. 2인 가구는 44.3%, 3인 가구는 39.7%, 4인 가구는 36.9%로 나타났다. 맞벌이 부부는 외식과 배달비 비중이 41.5%에 달했고, 외벌이 부부는 36.2%였다. 간편하게 한 끼 식사를 마련할 수 있는 ‘즉석 조리 식품’ 수요도 늘었다. “즉석조리 식품을 산 경험이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74.6%로, 2013년(61.9%)과 지난해(72.6%)에 이어 꾸준히 높아지는 추세이다. 연령대가 낮은 가구, 어린이ㆍ유아를 둔 외벌이 가구 등에서 특히 즉석조리 식품 구입 경험률이 높게 나타났다. 정자연기자

국제유가 뚝… 휘발유 1천200원대 등장

경기도에서 휘발유를 1ℓ당 1천200원대에 판매하는 주유소가 10개월만에 다시 등장했다. 경유 가격도 지난 1월 이후로 처음 1ℓ당 1천원대로 떨어졌다. 16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여주시 알뜰(EX) 서여주 주유소는 휘발유를 1ℓ당 1천294원에 판매하고 있다.휘발유를 1ℓ당 1천200원대로 판매한 주유소가 등장한 것은 지난 2월13일 파주시 (주)윈업 주유소가 1ℓ당 1천289원에 판매한 이후로 10개월만이다. 경유 가격도 11개월 만에 1천원대로 떨어졌다. 현재 여주시 알뜰(EX) 서여주 주유소와 포천시 유광주유소가 경유를 1ℓ당 각각 1천74원과 1천80원에 판매하고 있다. 이처럼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내려간 것은 국제 유가 하락의 영향이다. 국제적 원유 비축량보다 공급량이 많아 기름값이 곤두박질하고 있는 것이다. 오피넷에 공개된 지난 15일 기준 두바이유 가격은 1배럴당 33.82달러로 집계됐다.이는 지난 2004년12월29일 배럴당 33.26달러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난 15일 기준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투자자들의 저가 매수에 힘입어 전날보다 1.04달러 오른 1배럴당 37.35달러에 거래를 마쳤지만, 원유 공급량이 조절되지 않으면 곧 다시 하락세를 나타낼 전망이다. 국제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국내 유가 역시 점차 떨어질 것으로 한국석유공사는 내다봤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수요보다 공급이 많으면 가격은 자연스럽게 하락하게 돼 있는데 원유 생산량이 통제되지 않고 있어 국제 유가 하락세는 계속될 것”이라며 “국제 유가 하락이 국내 기름값에 단기간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지만 (국내) 휘발유와 경유 가격은 점차 내려가는 양상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정현기자

[분양정보] 우방건설산업 ‘용인 기흥 우방 아이유쉘’

총 1천901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조성될 용인 ‘상미마을’ 도시개발에 탄력이 붙으며 인근 분양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 지난 7월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 신청 및 지구단위계획변경 제안이 접수된 ‘상미마을’은 총 4개 블록 1천901가구 규모로 개발될 예정이다. 이 가운데 우방건설산업이 분양에 나서는 ‘용인 기흥 우방 아이유쉘’은 상미마을 도시개발지역에 바로 접해 있어 향후 개발에 따른 최대 수혜지로 평가받고 있다. ‘용인 기흥 우방 아이유쉘’은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407번지에 위치한 아파트로 지하 3층~지상 20층 7개동 △전용면적 59㎡A 104가구 △59㎡B 118가구 △59㎡C 72가구 △74㎡A 68가구 △74㎡B 38가구 등 총 400가구 규모다. 경부고속도로와 인접해 용서ㆍ영동고속도로 진입이 용이해 강남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다. 또 분당선과 에버라인 환승역인 기흥역을 통해 수원은 물론 분당, 용인시청 모두 20분대로 도달할 수 있다. 향후 수원ㆍ신갈IC로 이어지는 42번 국도 우회도로가 개통되면 교통은 한 층 더 편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경 1㎞ 내에는 신갈초와 구갈초, 기흥중, 기흥고 등 초ㆍ중ㆍ고교가 5개나 위치해 교육여건이 우수하다. 또 백남준 아트센터와 경기도박물관ㆍ경기도어린이박물관, 흥덕도서관이 가까워 교육하기 좋은 환경을 갖췄다. 인근에 녹지가 풍부한 것도 장점이다. 단지 바로 앞에는 어린이공원인 제41호 양지마을공원과 신갈공원이 조성돼 있다. 또 청명산이 단지와 가깝고 기흥 레스피아 호수공원 오산천 자전거길이 있어 가벼운 운동이나 산책하기 좋다.4-Bay 판상형 설계(일부가구 제외)를 통해 채광과 통풍을 극대화했으며 다양하게 수납할 수 있는 대형 펜트리와 대형 드레스룸을 제공한다. 견본주택은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1053-3번지에 마련되며, 18일 오픈 예정이다. 분양문의: 1522-2529용인=강한수ㆍ권혁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