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경자년(庚子年)은 코로나19가 집어삼킨 한해였다. 흰 쥐의 기운을 이어받아 꿈과 희망으로 시작했지만, 온 세상이 코로나로 뒤덮였다. 코로나에 가로막혀 우리 삶의 많은 것이 단절되고 뒤바뀌었다. 그중 하나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인 정(情)이다.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처음 맞는 민족 대명절 ‘구정(舊正)’이 다가왔다. 모처럼 온 가족이 한 데 모여 온정을 나눌 수 있는 연휴지만 올해는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비대면 속 명절을 맞이하게 됐다.
비대면 명절은 우리 고유의 문화를 뒤바꿨다. 고향에 계신 부모님을 형제ㆍ자매가 함께 찾아뵙기 어려워졌다. 자식 된 도리를 하겠다는 사람들은 4인 이하로 순번을 정하는 낯선 모습도 연출한다. 코로나 확산 방지라는 명분으로 ‘귀향 면제권’을 받아든 자식들도 많아졌다. 몸은 편해졌지만, 마음은 편치 않다. 찾아뵙지 못하는 죄송함을 선물로라도 대신해야 한다는 부담은 늘었다. 가족 간의 정(情)이 코로나에 가로막혔다.
대규모 가족 모임이 어려워지면서 설 풍경도 변하고 있다. 차례상이 간소화되며 간편 제수용품 판매가 급증했다. 명절 음식도 간편식과 밀키트로 대체 하는 가정이 늘었다. 편의점은 혼자 명절을 보내는 ‘혼설족’을 겨냥해 명절 도시락을 내놨다. 명절을 앞둔 고향 길목에서 귀성객을 반기는 문구도 사라졌다. 대신 고향 방문을 자제해달라는 내용의 구수한 사투리가 곳곳에 내걸렸다. 명절에만 느낄 수 있었던 정(情)이 코로나에 멀어졌다.
반면 비대면 속 명절 신풍속도 생겨났다. 고향을 찾지 못하는 손주들에게 주식으로 세뱃돈을 주고, 온라인으로 성묘와 제사를 지내는 서비스도 도입됐다.
이처럼 비대면 명절은 정(情)으로 이어져 온 국민 정서상 이질적인 측면도 있다. 그러나 거리를 뛰어넘는 우리 민족의 정(情)은 변함이 없을 것이다. 앞으로 우리는 코로나가 바꿔 놓은 세상에 적응해야 한다. 코로나가 우리에게 안긴 비대면은 경쟁의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했으며,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고유의 명절을 포함해서 말이다.
모든 것이 바뀐 2021년 신축년(辛丑年) 구정. 비대면 명절로 많은 제한이 따르지만, 모두가 슬기롭게 정(情)을 나누며 끈끈함을 더하는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