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 펼쳐 일자리 미스매치 줄여나가야” [이슈M]

지자체·기업 협력해 직업훈련하고... 中企 근무환경 개선 등 지원 강화

전문가들은 일자리 미스매치를 최소화하기 위해 고용서비스의 고도화, 맞춤형 직업 훈련 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사진은 이미지투데이 제공

 

전문가들은 일자리 미스매치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정부와 경기도가 고용서비스의 고도화와 기업맞춤형 직업 훈련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을 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민간기업은 일자리를 만드는 근간”이라며 “도가 나서서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민간기업이 잘 운영돼 지역 경제를 견인하기 위해서는 미스매치를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빈 일자리가 많은 기업의 장애 요인을 파악하는 등 노동시장 실태를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며 “직접 일자리에 있던 청년 등의 인원이 안정적이고 원하는 기업으로 옮겨갈 수 있도록 맞춤형 취업 지원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직업훈련을 통해 구직자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자체와 기업이 협력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직업훈련과 교육이 분절적이고 단절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결국 기업이 직원을 뽑아도 직업 교육을 다시 하는 상황”이라며 “인턴제도를 통해 경험을 쌓고, 이들이 정규직으로 갈 수 있도록 지자체와 기업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김성희 고려대 노동전문대학원 교수는 “경기도는 수도권 효과로 인구 유입이 가장 많고 산업 인구도 많아 새로운 일자리가 늘어날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이다. 이것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인과 구직을 연결해주는 고용서비스를 체계화, 고도화 해야 한다”며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대기업과의 임금격차를 줄이고 근무 환경을 개선해 고용을 유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