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탈모 환자들이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 인하대병원에 따르면 최광성 의생명연구원장은 최근 ‘여성형 탈모증 환자 삶의 질 및 심리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 논문에서 여성 탈모 환자가 겪는 정서적 고충과 일상생활 변화상을 조명했다. 연구 결과, 13세 이상 여성 환자 20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탈모가 심할수록 우울 척도(BDI), 불안 척도(BAI), 삶의 질(HSS29) 저하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삶의 질 저하 정도는 백반증, 여드름, 건선 등 다른 피부 질환 환자들과 유사하거나 더 심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최 교수는 여성형 탈모(FPHL)는 외모 변화뿐 아니라 정서적 고통, 사회적 위축, 의료비 지출 증가 등 여러 방면에서 환자에게 부담이 되는 질환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또, 여성 탈모 환자 경우 감정 영역의 손상이 두드러졌다며, 단순히 약물치료만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정서적 지지와 상담 중심 전인적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여성형 탈모증이 환자 삶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며 “탈모 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건강·의학
박상후 기자
2025-07-25 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