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소앙 기념관 통해 살펴본 조소앙 선생의 삶

올해는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한 해이다. 지난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독립기념관에서 열린 제74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일찍이 임시정부의 조소앙 선생은 사람과 사람,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사이의 균등을 주창했다며 평화와 번영을 향한 우리의 기본정신이라고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가 대륙과 해양을 잇는 나라, 동북아 평화와 번영의 질서를 선도하는 나라가 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뚜렷한 목표를 가져야 함을 조소앙 선생의 삼균주의를 인용해 역설한 대목이다. 이에 양주시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조소앙(素昻 趙鏞殷, 1887~1958) 선생의 생애를 양주시 남면 황방리의 조소앙 기념관을 통해 재조명해 본다. ◇조소앙 기념관-조소앙 선생의 생애를 재조명하다 조소앙 선생은 1887년 함안 조씨 가문의 6남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나 양주(현 양주시)에서 어린시절을 보냈다. 그가 유년시절을 보냈던 양주시 남면 황방리에는 선생의 업적을 기리는 조소앙 기념관이 들어서있다. 2016년 개관한 조소앙 기념관은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이지만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조소앙 선생의 생애를 재조명하며 선생의 고귀한 독립운동정신을 기리고 대외적으로 널리 알려 후손들에게 애국정신의 함양과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성됐다. 기념관은 조국의 자주독립과 민주발전을 위해 헌신한 애국지사 조소앙 선생의 독립운동, 임시정부 외무부장 활동, 광복 후 통일운동에 이르기까지의 생애와 업적을 전시함은 물론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간 완전한 균등을 주창한 삼균주의사상을 다양한 문헌과 사진자료를 통해 전하고 있다. 기념관은 388㎡ 규모의 전통한옥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1만㎡에 달하는 기념공원과 2015년 복원한 조소앙 선생 본가, 잔디광장, 생태연못, 추모공간 등으로 조성되어 있다. 양주시는 지역의 대표 독립운동가인 조소앙 선생의 고귀한 독립운동정신을 재조명하기 위해 오는 10월까지 매월 셋째 주 토요일, 조소앙 선생 기념관을 방문하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조소앙의 길을 찾아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조소앙 선생 우드아트 체험, 태극기 석고방향제 만들기 체험, 임시정부 태극기 목판 체험, 무궁화 석고방향제 만들기 체험 등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삼균주의 창시자, 소앙 조용은(素昻 趙鏞殷) 우리 대한은 완전한 자주독립국임과 민주의 자립국임을 선포하고, 우리 대한은 타민족의 대한이 아닌 우리 민족의 대한이며, 우리 한토(韓土)는 완전한 한인의 한토이니 이천만 동포는 국민된 본령이 독립인 것을 명심하여 육탄혈전함으로써 독립을 완성할지어다. 100년 전인 1919년 4월11일 임시정부는 그 해를 대한민국의 원년으로 선언하고 전제국가가 아닌 주권재민의 나라임을 온 세상에 알렸다. 1919년 4월 중국 상해에 모인 독립운동가들은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제정반포하며 헌장의 제1조에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함을 밝혔으며 이러한 공화의 정신은 임시정부 헌법과 해방 후 제헌헌법, 1987년 개정된 지금의 헌법 1조 1항의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로 이어졌다. 대한민국 국명과 민주공화국 정신을 제안한 이가 바로 양주시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조소앙 선생이다. 그가 창시한 삼균주의는 정치의 균권, 경제의 균산, 교육의 균학을 의미하며 정치경제교육의 평등을 기반으로 개인민족국가의 평등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가 꿈꾸던 이상세계이자 오늘날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균등을 위해서는 정치경제교육의 균등화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보통선거제와 주요 업의 국유화, 국비 의무교육제가 필요하며 민족과 민족의 균등을 위해서는 소수민족과 약소민족이 압박에서 벗어나야 하고, 국가간의 균등을 위해서는 제국주의가 타도되고 전쟁이 금지돼야 한다고 전하고 있다. ◇항일과 독립운동으로 채워진 조소앙 선생의 삶의 여정 조소앙 선생의 본명은 용은(鏞殷), 자는 경중(敬仲), 아호는 소앙(素昻)이었다. 6세부터 통정대부인 조부 조성룡에게 한학을 배워 15세인 1902년 최연소로 성균관에 입학해 선배인 신채호와 함께 항일성토문을 작성하는 등 확고한 애국심을 가지고 있었다. 성균관 졸업 후 황실 특파 유학생으로 선발돼 1904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부립 제일중학교에 입학해 1912년 26세 때 학업을 마치고 이듬해 북경을 거쳐 상해로 망명해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1917년 7월 상해에서 독립운동가 14명과 주권재민론과 대동사상에 기초한 선구적 독립선언이었던 대동단결선언을 공표하며 공화제에 입각한 헌법의 초안을 닦았으며, 1919년 2월1일 우리나라 최초의 독립선언서인 대한독립선언서(무오독립선언서)를 자주독립의 민주국가 건설을 대전제로 기초하며 삼균주의의 원형을 담았다. 이후 1919년 4월 상해 임정 수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임정 출범의 법적 뒷받침이 된 임시헌장과 임시의정원법의 기초위원으로 민주공화제 임정수립의 기초를, 1930년 1월 김구, 이시영 등 임정 요인을 포함한 28명과 함께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창당하며 정치균등, 경제균등, 교육균등의 삼균주의를 창시하고 당의 및 당강을 기초한다. 193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삼균주의를 국시(國是)로 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을 채택했다. 1940년 9월 민족진영의 항일독립군 요인들이 총결집해 한국광복군을 창립했고 그해 10월 임정의 제4차 개헌을 통해 수립된 김구주석 체제에서 외무부장으로 선출됐다. 1941년 임시정부는 사람과 사람,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의 균등한 생활을 주의로 하는 조소앙 선생의 삼균주의(三均主義)에 입각한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공표하며 삼균주의를 임시정부의 기본이념 및 정책노선으로 확정했다. ◇해방 후 납북영원에 잠들다. 조소앙 선생은 해방 후 1946년 비상국민회의 의장으로 선출돼 자주적인 국가건설 운동을 추진했다. 제헌국회 구성을 위해 1948년 5월 10일 치러진 총선거에 불참했으나 1950년 5월 30일 치러진 2대 총선에서 서울 성북구에 출마해 우익의 거물 조병옥을 상대로 전국 최다 득표인 3만4천표를 얻어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돼 국회에 입성했다. 그러나 선거 25일 후 터진 625 전쟁 때 납북돼 전시하에서 가혹한 생활을 견뎌야 했으며 김일성의 요구를 거부하고 납북인사들과 함께 독자적인 중립화통일운동을 전개했다. 독창적이고 주체적인 삼균주의, 근대국민국가를 수립하고자 힘썼던 독립운동가 조소앙 선생은 1958년 9월10일 향년 72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현재 평양시 신미리의 애국열사릉에 고이 잠들어 있다. 현재 양주시 남면 황방리 선영에 선생의 가묘가 있다. 조소앙 선생이 남긴 삼균주의는 전쟁 후 이념대결 와중에 잊혀졌지만 기본정신은 대한민국 제헌헌법에 스며들어 민주공화국의 기본정신으로, 지금의 헌법으로 이어졌으나 한동안 월북인사로 분류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다가 1989년 정부에서 선생의 공훈을 기리어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2003년에는 독립기념관에 삼균주의와 약전(略傳)을 새긴 어록비가 세워졌다. 한편 2016년 개관한 조소앙기념관에는 선생의 숭고한 업적을 기리고 추모하는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양주=이종현기자

국립 한경대 미얀마 농촌개발정책에 노하우 전수

국립 한경대가 현대화된 대한민국의 성공적인 농촌개발 사업의 노하우를 미얀마 정부 공무원에 전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한경대는 지난 10일부터 17일까지 미얀마 정부 관계자 11명을 대상으로 한국의 농촌개발을 전수하기 위한 미얀마 농촌공동체 개발사업 새마을포럼 및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새마을운동이 상징하는 한국의 성공적인 농촌개발 경험을 접목해 미얀마의 농촌개발에 전기를 마련하고자 지난 2014년부터 지금까지 추진해오는 미얀마 농촌개발 사업 일환이다. 한경대는 지난 5년간 이어온 미얀마 농촌개발 사업의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미얀마 농촌개발의 추진 방향 등을 논의했다. 미얀마 정부 연수 참가자들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한국의 현대화된 농촌개발 사업과 기술에 놀랐고, 향후 미얀마를 선진화된 농업발전 국가로 성장시키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이남호 한경대 교수(워크숍 총괄 책임자)는 미얀마 농촌공동체 개발사업의 마무리 단계에서 본 연수를 통해 연수생들의 역량이 강화되고 더 나아가 미얀마 정부의 농촌개발정책에 새마을운동이 도입돼 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안성=박석원기자

[상반기 결산] 코스닥 상장사, 매출은 늘었지만…순이익 15.60% ‘급감’

올해 상반기 코스닥 상장사의 매출은 늘었지만, 순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코스닥 주도 업종으로 꼽히는 IT, 제약업종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19일 한국거래소와 코스닥협회는 12월 결산법인 코스닥 상장사 1332사 중 비교 가능한 1153사의 2019년도 상반기 실적현황을 발표했다. 올해 상반기 개별기준 매출액은 65조57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8%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3조8484억 원, 3조473억 원을 기록해 0.57%, 15.60%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순이익률 역시 각각 0.24%포인트, 1.06%포인트 하락했다. 2분기 실적으로만 따지면 매출액은 33조9606억 원으로 9.21%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27.71% 늘어난 반면 순이익은 26.26% 감소했다. 상반기말 현재 부채비율은 65.38%로 지난해 말 대비 3.41%포인트 늘어났다. 업종별로는 IT업종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IT업종 매출액은 3.47% 증가했고, 순이익은 3.57% 줄었다. IT업종 내 통신방송서비스, IT 소프트웨어‧서비스, IT 하드웨어 등 모두 매출액은 늘었지만 순이익은 감소했다. 비IT업종의 매출액은 3.49% 증가한 반면 순이익은 23.7% 급갑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IT업종 중 매출액이 가장 크게 늘어난 업종은 광업(220.62%), 숙박음식(54.40%), 건설(18.08%) 순이었다. 감소한 업종은 금융(-8.18%)이었다. 분석대상기업 1153사 중 776사(67.30%)가 상반기 순이익 흑자를 시현한 반면 377사(32.70%)는 적자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16사가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149사는 흑자에서 적자로 돌아섰다. 특히 흑자가 늘어난 업종은 숙박ㆍ음식(2362.31%)으로 집계됐다. 흑자가 줄어든 업종은 농림업(-73.33%), 유통(-52.17%), 전기ㆍ가스ㆍ수도(-29.72%) 등이었다. 적자로 돌아선 업종은 기타서비스, 오락문화 등이었다. 광업은 적자 폭을 넓혔다. 연결기준 12월 결산법인 1008사 중 비교 가능한 909사의 실적 현황을 비교하면, 상반기 매출액은 89조 5442억 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9.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은 5.43% 증가했고, 순이익은 7.98% 감소했다. 상반기 말 현재 부채비율은 111.94%로 지난해 말 대비 9.45%포인트 상승했다. 저작권자 ⓒ 이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 이정민진시우 별세, 미술계 큰 슬픔마지막 쓴 편지 내용보니 - [주간 환율 전망] 원달러, 상승 압력 우세 대외 불안 지속 - [호남 건설 '빅3'] '시평 톱10' 호반건설, 호남 맹주로M&A 시장선 '양치기 소년'

[상반기 결산] 코스피, 상장사 순익 43%↓…반도체 등 대부분 업종 ‘부진’

올해 상반기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의 당기순이익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4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사회사협의회가 12월 결산 코스피 상장사 578개사(금융사 등 제외)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상반기 매출은 988조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83% 증가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55조 원으로 37.09% 줄었으며 순이익도 37조 원으로 42.95% 감소했다. 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 영업이익)과 순이익율은 각각 5.57%, 3.79%로 전년동기대비 3.36%포인트, 2.91%포인트 줄었다. 특히 2분기 들어 실적이 크게 악화됐다. 미중 무역분쟁 격화와 일본 수출규제 등 악화된 대내외 여건이 기업들의 실적을 끌어내렸다. 2분기 코스피 상장사의 매출은 504조 원으로 4.1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7조원, 16조원으로 직전분기 대비 2.57%, 20.69% 감소했다.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도 각각 5.39%, 3.29%로 직전분기 대비 0.37%포인트, 1.03%포인트씩 줄었다. 실적 부진 영향으로 코스피 상장사의 상반기말 연결 부채비율은 110.24%로, 작년 말(105.48%) 대비 4.75%포인트 높아졌다. 다반 분석 대상 기업 가운데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442개사(77.0%)로 적자를 기록한 기업(132개사, 23.0%) 보다 많았다. 업종별 순이익을 보면 유통업(33.93%), 운수장비(31.94%) 등 2개 업종은 순이익이 늘었다. 반면 의료정밀(-84.53%), 섬유의복(-70.4%), 음식료품(-64.92%), 전기전자(-60.07%), 화학(-52.59%), 통신업(-43.78%), 종이목재(-32.24%), 서비스업(-31.17%), 비금속광물(-28.83%), 의약품(-12.04%), 철강금속(-5.48%), 기계(-4.86%), 건설업(-2.85%) 등은 순이익이 줄었고 운수창고업,전기가스업은 적자전환했다. 상반기 금융업종에 속한 41개사의 연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15조7000억 원, 12조 원으로 각각 지난해 동기보다 9.08%, 7.18% 감소했다 저작권자 ⓒ 이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캠코, 콜센터 용역근로자 139명 '자회사 설립 통한 정규직 전환' - [BioS]국내 제약사, 상반기 바이오기업 투자 현황은? - 아이에스이커머스 해외기업과 파트너제휴ㆍ자회사 인수 속도 - 농축산 공공기관민간기업 140여 곳 채용문 활짝 - 전국 아파트 매입 금융비용 감소이자집값 하락 영향 [주요뉴스] - 이정민진시우 별세, 미술계 큰 슬픔마지막 쓴 편지 내용보니 - [주간 환율 전망] 원달러, 상승 압력 우세 대외 불안 지속 - [호남 건설 '빅3'] '시평 톱10' 호반건설, 호남 맹주로M&A 시장선 '양치기 소년'

[상반기 결산] 코스피 영업익 1위 삼성전자…SK하이닉스 2위→5위 추락

올 상반기에도 코스피 상장사 가운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가장 큰 기업은 삼성전자로 집계됐다. 그러나 반도체 업황 부진 등으로 영업이익 규모는 크게 줄었다. 19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사회사협의회가 12월 결산 코스피 상장사 578개사(금융사 등 제외) 상반기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12조8303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이는 전년 같은 기간 보다 57.95%나 줄은 수치다. 가뜩이나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일본 수출규제 등 대외 경영 여건이 악화되자 실적이 더 나빠졌다는 분석이다. SK하이닉스의 실적도 부진했다. 지난해 삼성전자에 이어 유가증권시장 영업이익 2위를 기록했던 SK하이닉스는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2조41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9.84%나 감소하면서 5위까지 떨어졌다. SK도 영업이익 2조4500억 원을 기록, 전년 동기보다 22.38.4% 감소했지만 삼성전자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이어 △포스코(2조2714억 원) △현대자동차(2조625억 원) △LG전자 1조5528억 원) △기아자동차(1조1276억 원) △현대모비스(1조1209억 원) △한국가스공사(1조741억 원) △GS(1조5억 원) △SK이노베이션(8286억 원) △두산(8113억 원) △KT&G(7472억 원) △LG(7343억 원) △CJ(7084억 원) 순으로 영업이익이 많았다. 영업이익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상장사는 일진전기로 4175.03%의 영업이익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어 △호전실업(3975.70%) △필룩스(2692.01%) △MH에탄올(2358.72%) 순이었다. 한편 영업이익이 가장 낮았던 상장사는 한국전력으로 9285억 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LG디스플레이도 적자가 지속돼 5007억 원의 영업적자를 냈고 이어 현대상선도 2185억 원의 적자를 나타냈다. 아시아나항공(-1169억 원)과 OCI(600억 원), 현대로템(371억 원)은 적자전환했다. 저작권자 ⓒ 이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삼성전자, 자율주행 V2X 솔루션 업체에 1100만 달러 투자 - 삼성전자, '갤럭시노트10 팬 파티' 개최 - 삼성전자, 상반기 한국 수출 20% 차지 법인세도 역대 최대 - 한달반 새 상장사 5개 중 3개 꼴 3분기 영업익 전망치 - 삼성전자, 美서 '더 프레임' TV 활용해 신진 예술가 육성 [주요뉴스] - 이정민진시우 별세, 미술계 큰 슬픔마지막 쓴 편지 내용보니 - [주간 환율 전망] 원달러, 상승 압력 우세 대외 불안 지속 - [호남 건설 '빅3'] '시평 톱10' 호반건설, 호남 맹주로M&A 시장선 '양치기 소년'

“잊지 않겠습니다”… 부천 판타스틱큐브, 영화로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 다뤄

부천문화재단 시민미디어센터가 운영하는 독립영화전용관 판타스틱큐브에서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를 다룬 영화를 상영한다. 관련 상영작은 ▲주전장 ▲김복동 등 2편이다. 독립예술영화 좌석점유율 1위인 화제작 ▲주전장에선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를 두고 쉴 틈 없는 논쟁이 펼쳐진다. 일본계 미국인 미키 데자키 감독이 일본군 성노예제의 과거를 숨기려는 이들의 실체를 추적하는 내용으로, 일본 극우세력의 협박에도 다양한 사람들의 인터뷰를 영화화해 주목을 받았다. 일본군 성노예제를 다룬 작품으로는 일본에서도 44개 극장에서 상영하며 이례적 인기를 보였다. 부천 판타스틱큐브에서도 개봉작 중 최대 관객 수를 기록하고 있어 정기 상영 일정 이외에 특별 추가 상영한다. 추가 상영은 오는 23일, 24일 오전 11시다. 다큐멘터리 영화 ▲김복동은 피해자이자 여성인권운동가, 평화운동가인 김복동 할머니가 일본의 사죄를 받기 위해 투쟁한 여정을 조명한다. 올해 1월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90세가 넘은 나이에도 전 세계를 돌며 당당히 목소리를 높인 김복동 할머니의 일대기를 담았다. 상영시간표 등 자세한 정보는 부천시민미디어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는 판타스틱큐브로 하면 된다. 부천=오세광기자

최대훈, 손예진과 '사랑의 불시착'서 남매 호흡

배우 최대훈이 tvN 새 토일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 출연을 확정짓고 열일 모드에 돌입한다. 올해 하반기 방송 예정인 tvN 화제작 '사랑의 불시착'(극본 박지은 연출 이정효 제작 문화창고, 스튜디오 드래곤)은 어느 날 돌풍과 함께 패러글라이딩 사고로 북한에 불시착한 재벌 상속녀 윤세리와 그녀를 숨기고 지키다 사랑하게 되는 특급 장교 리정혁의 절대 극비 러브스토리를 그린 드라다. '별에서 온 그대' '푸른 바다의 전설' 등을 집필한 박지은 작가와 '굿 와이프' '로맨스는 별책부록 등을 연출한 이정효 감독이 의기 투합한 작품이다. 최대훈은 극 중 윤세리(손예진)의 큰 오빠 '윤세준' 역을 맡아 손예진과 남매 호흡을 맞춘다. 매 작품에서 완벽한 연기변신으로 명실상부 씬 스틸러 활약을 펼쳐온 최대훈이 이번 작품에서 선보일 윤태준 캐릭터에 기대가 쏠린다. 앞서 드라마 '자백' '흉부외과' '무법 변호사' '의문의 일승'을 통해 인상적인 연기를 펼친 최대훈은 '사랑의 불시착'을 통해 다시 한 번 인생 캐릭터를 경신할 전망이다. 특히, 출연하는 작품마다 매력적인 캐릭터를 구축해내며 상대 배역과 환상적인 케미 열연을 펼쳤던 최대훈의 남매 호흡 예고에 시청자들의 기대감이 증폭되고 있다. 독보적인 연기로 작품 속에 완벽히 스며들어 극 중 없어선 안 될 존재로 활약하는 최대훈이 이번 작품에서는 또 어떤 모습으로 시선을 사로잡을지 대중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랑의 불시착'은 올해 하반기 방영 예정이다. 장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