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FC, 아산 잡고 3강체제 굳히기 돌입

프로축구 K리그2(2부리그) 수원FC가 6경기 무패행진(5승 1무)을 이어가며 선두권을 맹추격했다. 수원FC는 15일 수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린 하나원큐 K리그2 2019 15라운드 홈경기에서 안병준의 멀티골로 아산을 2대0으로 완파하고 상승세를 이어갔다. 3위 수원FC는 이날 승리로 8승 3무 4패(승점 27)를 기록, 한 경기 덜치른 2위 부산 아이파크(승점 28)에 승점 1차로 따라 붙었다. 수원FC는 이날 경기 전까지 6경기에서 3승 3무로 무패행진을 달리던 아산에 전반 주도권을 빼앗겼다. 아산은 고무열ㆍ이명주ㆍ최요셉 공격 삼각 편대를 앞세워 수원FC를 괴롭혔으나, 골키퍼 박형순의 선방에 힙입어 실점하지 않았다. 전반 막판 반격을 펼친 수원FC는 43분 김병오의 크로스를 문전에서 안병준이 헤딩으로 연결해 아산의 골망을 흔들었다. 후반들어 다급해진 아산이 점유율에서 우위를 점하며 파상공세를 펼쳤지만 수원FC는 후반 27분 코너킥 상황에서 아산 김레오의 결정적인 슈팅을 주장 백성동이 두 차례나 육탄방어로 막아냈다. 이어 수원은 후반 41분 비디오판독(VAR) 끝에 페널티킥을 내줬으나 상대 고무열의 실축으로 위기를 넘겼고, 1분 뒤 역습 상황에서 안병준이 조블론의 도움을 받아 쐐기골을 성공시켜 아산을 침몰시켰다. 한편, 이날 대전월드컵구장에서 열린 안산 그리너스와 대전 시티즌의 경기에선 안산이 후반 빈치씽코, 장혁진, 방찬준이 연달아 득점포를 가동해 3대1 역전승을 거뒀다.이광희기자

하남교산주민대책위원회, "정부는 신도시 정책 철회하라"

정부의 제3기 신도시 개발 발표와 관련, 하남교산주민대책위원회는 지난 15일 지구 내 대표적 문화 상징인 광주향교에서 제3차 반대시위를 열고 정부의 신도시 정책 백지화를 요구했다. 이날 대책위는 국회 제출 탄원서 처리 보고회와 석철호 대책위 위원장의 성명서 발표 등을 통해 정부의 신도시 반대입장을 분명히 밝힌 뒤 신도시 조성 철회를 상징하는 상여를 앞세우고 춘궁동행정복지센터에서 노제를 지냈다. 상여 행진은 트랙터가 앞장을 서고 향교출발~춘궁동 행정복지센터 노제~대원한우방~개나리주유소를 거쳐 서부농협 사거리에서 상여와 만장기, 영정사진 등을 패대기치며 반대의사를 확인하는 퍼포먼스로 이어졌다. 이날 집회에는 임채관 전국연대(25곳) 의장을 비롯, 울산ㆍ광명ㆍ남양주ㆍ부천 등지에서도 지역 위원장이 참여했다고 대책위측은 밝혔다. 석철호 대책위 위원장은 정부와 공기업이 1천억 원의 이익을 남겼다고 했던 판교개발사업이 무려 63배가 넘는 6조3천300억 원의 폭리를 취했다는 사실이 최근 경실련 발표로 드러났다면서 교산지구 주민들은 판교개발 폭리를 재탕하려는 정부의 제3기 신도시 개발을 반드시 철회시키겠다고 주장했다. 한편, 대책위측은 오는 27일 전국연대 주최로 국회의사당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예고했다. 하남=강영호기자

한국경찰연구학회, ‘테크놀로지 혁신과 범죄 단속 및 예방’ 주제로 국제학술대회 개최

한국경찰연구학회가 지난 14일 대전 목원대에서 국립경찰대학 및 재미한인범죄학회와 공동으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했다. 테크놀로지 혁신과 범죄 단속 및 예방이란 주제로 열린 이날 국제학술대회는 황의갑 한국경찰연구학회장과 이상정 경찰대학장을 비롯 황운하 대전지방경찰청장 등이 참석해 개회, 환영사 및 축사 순으로 대회 시작을 알린데 이어 각 분야별 발표자들의 주제발표와 함께 활발한 토론이 진행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특히 러시아주립대 교수와 정책자문위원을 역임한 하쉬에르덴 몽골지식협회장과 우리의 경찰대학과 유사한 몽골법집행대학 자브흘랑 법사회과학대 학장이 참석, 우리 치안테크놀로지의 몽골과 러시아 진출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또 재미한인범죄학회의 이 분야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 테크놀로지 세션은 물론 일반세션, 여성학자 세션, 그리고 대학원생 포스터세션 등이 다양하게 준비돼 논의의 깊이를 더했다. 이런 가운데 오랜만에 여성학자들이 야심차게 한데 모여 경찰학과 범죄학계의 우먼파워를 과시하며 여성관련 범죄 피해 및 대책을 논하는 여성학자 세션에 대한 관심도 주목을 받았다. 황의갑 회장은 UN미래보고서는 30년 뒤 인공지능으로 움직이는 무인 자동차와 드론이 도로와 하늘을 가득 메우게 될 것을 예측하고, IT발달로 인한 사이버범죄, 3D프린터 남용, 인공지능(AI)과 드론을 이용한 범죄 등이 치안측면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시점이라며 이런 때 사이버폴리싱과 드론에 대한 주제를 심도있게 다루어 미래 치안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이번 학술대회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것 같다고 말했다. 김동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