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수도권·비수도권 아파트 공급 ‘양극화’ 뚜렷” [한양경제]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 한양경제 기사입니다. 올해 12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2만2000세대를 간신히 넘기며, 2014년 이후 9년 만에 최저점을 찍을 것으로 집계됐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입주 물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가운데 서울지역 입주 물량은 공급 자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년에도 수도권과 비수도권(지방)의 ‘신규 아파트 공급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27일 부동산전문업체 ‘직방’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세대수 300세대 이상 아파트단지 입주 물량은 2만2천196세대다. 이는 전월 입주 물량 3만2천206세대보다 31%, 전년 같은 기간 2만4천28세대와 비교해도 약 8% 감소한 수준이다. 역대 12월 입주 물량을 기준으로 살펴보더라도 올해 12월 입주 예정 물량은 2014년(1만6천495세대 공급) 이후 가장 적은 규모다. 입주 물량 감소는 수도권 입주 물량이 감소한 영향 탓이라고 직방은 분석했다. 특히 서울과 인천은 아예 12월 중 입주 물량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입주 물량이 전무한 것은 올해 5월 이후, 인천은 지난 2021년 3월 이후 처음이다. 경기의 경우 7천518세대가 입주 예정돼 있지만, 이 역시 전년 동기(1만2천710세대)와 비교하면 41%가량 물량이 줄었다. 반면 비수도권(지방)의 경우 입주가 전월(1만4천919세대)과 비슷한 수준인 1만4천678세대가 입주 예정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7천518세대로 가장 많았고, 이어 △부산 3천796세대 △충남 2천492세대 △경남 2천475세대 △대구 2천279세대 △세종 995세대 △강원 648세대 △경북 631세대 △울산 442세대 △광주 402세대 △충북 330세대 순이었다. 가장 작은 규모인 △전북은 188세대가 입주한다.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 감소 추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직방은 예상했다. 내년도 전국 아파트 입주 예상 물량은 총 30만6천403세대로, 이는 올해 32만1천215세대와 비교하면 5%가량 줄어든 수준이다. 특히 내년에도 수도권에서 입주 물량 감소폭이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수도권 전체에서는 14만737세대가 입주 예정 물량으로 집계돼 올해보다 18%가량 적다. 더욱이 서울에서 올해 입주 물량(3만470세대) 대비 감소폭은 63%에 달해 1만1천376세대가 입주할 것으로 직방은 추산했다. 반면 내년 지방에서는 총 16만5천666세대가 입주할 것으로 예상돼 올해(14만8천921세대)보다 11%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권역별 내년도 입주 물량는 △대구 2만3천403세대 △경북 2만2천960세대 △충남 2만1천504세대 △경남 1만8천765세대 △부산 1만4천236세대 순이다. 김민영 직방 매니저는 “서울 중심으로 공급이 줄어드는 경향이 확연히 나타나는 반면 지방은 공급 계속 이어지는 양극화 모습이 뚜렷하다”면서 “비수도권은 각종 정비 사업과 신규택지 공급이 활발하면서 2~3년 전 착공한 물량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내 아파트 청약 경쟁률 ‘극과 극’…분양가 상한제 단지 수요 '집중'

지난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 동안 진행된 경기도내 민영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지역별로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9월11일부터 13일까지 청약을 진행한 SGC 이테크건설 ‘오목천역 더리브’ 1순위 청약이 전부 미달됐다. 또 지난달 16일부터 이틀간 청약을 진행한 현대엔지니어링 ‘힐스테이트 수원파크포레’ 역시 84㎡A형 1순위 기타지역 청약을 제외한 모든 모집공고가 미달된 채 마감됐다. 반면 같은 달 ‘동탄레이크파크 자연앤 e편한세상(민영)’ 279가구 청약에는 10만5천179명이 몰려 최고 경쟁률 1천901.64대 1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동탄신도시 ‘금강펜테리움 7차 센트럴파크’ 역시 408가구에 3천005개의 청약통장이 접수됐다. 미달이 속출하던 파주시도 청약 인기가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 중순 진행된 ‘파주 운정신도시 우미린 더 센텀’ 170가구 모집에 1만8천494명이 몰리면서 평균 경쟁률이 108.78대 1을 기록했으며, 지난 20~22일 진행된 제일건설 ‘운정3 제일풍경채’는 공급된 42가구에 1만5천609명이 접수해 최고 2천396.6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는 수도권 내 아파트 분양가가 상승하자 청약 수요가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에 집중된 것으로 분석된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최근 높은 청약 경쟁률을 보이는 단지의 공통적인 특징은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 단지로,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수요가 몰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기에 특히 동탄, 용인을 축으로 이어지고 있는 개발 호재로 아파트 매매 시장 유입이 꾸준히 발생, 청약 시장에서도 해당 지역으로 수요자 유입 여지가 마련됐다”며 “다만 수요자가 가격에 따라 선별 청약하는 움직임이 강해지는 등 가격 민감 상태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근래 진행된 단지 중 수원지역 청약의 경우 구도심에 있었음에도 신축이다 보니 주변 구축보다 가격대가 높아 청약 흥행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1기 신도시 중 일산 집값 상승률 가장 더딘 이유는?

1기 신도시 중 ‘일산’의 집값 상승률이 가장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정부는 일산을 포함한 분당, 평촌, 산본, 중동 등 1기 신도시 전반을 재정비하는 ‘노후계획도시 정비를 위한 특별법’을 추진 중인데, 재건축이 본격화 하더라도 일산은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인 리얼투데이가 KB부동산 통계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 지난달 기준 일산신도시가 있는 일산 동구의 1㎡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641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0년 전인 2013년 말(349만원) 대비 83.6% 상승한 수준이다. 반면 같은 기간 분당신도시가 속한 성남시 분당구는 1㎡당 평균 매매가가 582만원에서 1천431만원으로 145.8% 뛰었다. 평촌신도시가 속한 안양시 동남구 역시 10년 전 447만원에서 현재 929만원으로 107.8% 상승했다. 일산은 분당과 비교했을 때 1㎡당 가격차가 2013년 234만원에서 현재 789만원으로 벌어졌고, 평촌과 대비해서도 10년 전 98만원에서 올해 288만원 수준으로 차이가 났다. 또한 일산은 부천이나 산본에 비해서도 집값 상승률 면에서 뒤쳐졌다. 부천과 산본의 10년간 1㎡당 매매가도 각각 94.4%, 85.2%씩 상승해서다. 일부 지역에선 이미 일산의 집값을 따라잡은 곳도 있다. 지난 2020년 입주를 시작한 중동센트럴파크 푸르지오 전용 84C형은 지난달 12억원(25층)에 팔렸는데, 비슷한 시기(2019년) 입주한 일산 킨텍스윈시티1블록 전용 84C형은 지난 9월 12억원(22층)에 거래됐다. 일산요진와이시티(2016년 입주) 전용 84C형은 10억500만원(25층)에 매매된 상황이다. 이처럼 1기 신도시 가운데 일산의 가격 상승이 부진한 이유는 수도권 남부 위주의 개발과 일산 및 주변 지역의 공급 과잉이 지목된다. 일산 위쪽엔 파주운정신도시, 옆엔 창릉신도시가 들어선 데다가 고양시 안에서도 삼송신도시 및 덕은·원흥·지축·식사지구 등이 개발되며 ‘일산’의 집값이 멈춰섰다는 설명이다. 이를 두고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1기 신도시 중 일산의 용적률이 가장 낮아 사업성은 높아 보이나 주택 수요가 뒷받침될 때의 이야기”라며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 받는 창릉신도시에 밀려 당분간 어려울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다만 K-콘텐츠 복합단지인 ‘CJ라이브시티 아레나’와 ‘킨텍스 제3전시장’, ‘고양일산테크노밸리’ 등의 개발 사업이 계획 중이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 노선도 개통된다면 시장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 내년 공시지가 현실화 동결 방침…보유세 부담도 그대로

정부가 내년 부동산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올해 수준에서 동결하는 쪽으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보유세 부담도 올해와 같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21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부가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을 재검토하고 있지만, 지금 바로 로드맵 전체를 고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일단은 동결로 가는 방향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동결 방침이 확정될 경우, 내년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올해와 같은 69.0%로 유지된다. 종합부동산세 과세표준을 결정하는 공정시장가액비율도 역대 최저 수준인 60%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부동산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매기는 보유세 부담은 올해와 같은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2030년까지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시세의 90%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방안을 추진했다. 그러나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면서 공시가격 현실화율과 부동산 보유세율이 잇따라 올라 세 부담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윤석열 정부는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 재검토를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2024년 이후 적용할 기준을 올 하반기 중 발표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올해 72.7%로 올라갈 예정이었던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2020년 수준인 69.0%로 내려 세 부담을 줄였지만, '로드맵을 원점 재검토한다'는 원론적인 입장 외에는 아직 구체적 대안은 없는 상황이다.

쪼그라드는 지방·非아파트 전세 시장...거래총액 역대 최저 [한양경제]

이 기사는 종합경제매체한양경제 기사입니다. 전세 시장에서 보증금 보장 불신이 커지며 임차인들이 전세를 회피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전세 사기가 주로 일어난 빌라나 오피스텔 등 비(非)아파트 전세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 거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와 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부동산 전문 플랫폼 직방이 주택 전세 거래총액을 분석한 결과, 올해 전국 주택 전세 거래총액은 아파트 181조5천억원, 비아파트 44조2천억원으로 조사됐다. 비중을 살펴보면 아파트 80.4%, 비아파트 19.6%다. 주택 전세 거래총액에서 비아파트 비중이 20% 미만으로 떨어진 경우는 2011년 주택 임대 실거래가가 발표된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아파트 전세 시장은 올해 들어 가격이 상승하며 회복세를 보였으나, 비아파트 전세 시장의 침체는 장기화되고 있다. 올해 권역별 주택 전세 거래총액은 수도권 178조4천억원, 지방 47조4천억원으로 조사됐다. 비중은 수도권 79.0%, 지방 21.0%로 나타났다. 지방 주택 전세 거래총액 비중은 2014년 20.3%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22.2%)에 비해 1.2%포인트 낮아져 2015년 이후 가장 큰 폭의 변화가 나타났다. 올해 지방의 비아파트 전세 거래총액 비중은 2.5%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고, 지방 아파트도 2018년 이후 가장 낮은 비중인 18.5%로 집계됐다. 수도권도 비아파트 주택 전세 거래총액 비중이 17.1%를 나타내면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수도권 아파트 비중만 61.9%로 역대 최대를 차지하면서 지역별·주택유형별 전세 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올해 인천과 경기의 아파트 전세 거래총액 비중은 80%를 넘어섰으며, 서울도 75.4%의 비중으로 수도권에 속한 3개 시도지역에서 역대 최대 비중을 보였다. 경기 아파트 전세 거래총액이 80%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고, 인천은 2016년 80.1%를 기록한 이후 두 번째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 거래총액 비중이 70%를 넘은 것도 2017년(70.1%) 이후 처음이다. 지방광역시와 세종시의 아파트 전세 거래총액 비중은 80%를 넘어 90%에 육박하거나 90%를 넘어서고 있다. 특히, 세종은 특별자치시 조성으로 아파트 건설이 집중돼 아파트 비중이 높은 특성이 반영됐으나, 그 외 지역은 비아파트 주택시장의 위축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지방 도지역의 아파트시장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호남권과 영남권은 아파트 주택 전세 거래총액이 90%를 넘어섰고, 충북과 강원도 90%에 육박하고 있다. 천안·아산 등 산업기반이 탄탄한 충남, 연세 등 타지역과 다른 임대차 시장 특성을 가진 제주는 상대적으로 낮은 아파트 비중을 보이고 있다. 비아파트 전세 시장은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전세의 월세 전환이 아닌 월세, 전세를 포함한 비아파트 임대차 거래가 위축되는 모습이다. 단기적으로는 전세 사기 등으로 임대계약에 대한 신뢰가 상실된 원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지방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비아파트 전세 시장이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선호에 따른 비아파트 수요 감소, 아파트 이동으로 증가한 빈집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또한, 아파트 중심의 공급 정책과 생활환경 및 인프라 조성으로 인해 늘어나고 있는 비아파트 주택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비아파트 시장 위축의 장기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비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세대는 우리나라 가구의 48.7%에 달한다. 업계에서는 절반에 육박하는 국민이 비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것에 비해 정책과 행정서비스에서는 아파트에 비해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직방 측은 “비아파트 전세 시장에서 안전한 거래를 위한 상호 간의 신용과 거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제도와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산·용인·구리 6만5천가구… 반도체·수변도시 특화 [국토부, 신규택지 후보지 발표]

오산·용인·구리 등 경기도내 3개 지구에 6만5천500가구 규모의 신규 택지가 조성된다. '오산세교3'과 '용인이동' 신규 택지는 화성∼용인∼평택으로 이어지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의 배후 도시 역할을 하는 '반도체 신도시'가 된다. 한강변에 조성되는 '구리토평' 신규 택지는 수변 도시로 특화 조성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수도권 3곳을 비롯해 비수도권 2곳 등 8만 가구 규모의 신규 택지 후보지 5곳을 15일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김포한강2(4만6천가구), 올해 6월 평택지제역 역세권(3만3천가구)·진주 문산(6천가구)에 이어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세 번째 신규 공공택지 발표다. 국토부는 ▲주택 수요 ▲광역교통망 구축 가능 여부 ▲난개발 방지 및 주변 지역 시너지 효과 ▲지자체장의 적극 찬성 등 4개 기준을 적용해 신규 택지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 ▲오산세교3(3만1천가구) ▲용인이동(1만6천가구) ▲구리토평2(1만8천500가구) 등 3곳에 6만5천500가구를 공급한다. 비수도권에서는 일자리와 인구가 늘고 있는 충북 청주분평2(9천가구), 장기간 공공주택 공급이 적었던 제주화북2(5천500가구)에 1만4천500가구를 공급한다. 먼저, 오산시 가수동·가장동·궐동 등 433만㎡(131만평) 일대에 조성되는 ‘오산 세교3’은 이번에 발표된 신규 택지 규모 중 최대 물량이다. 이곳은 화성∼용인∼평택 반도체 클러스터의 중심부로, 지하철 1호선 오산역에서 서쪽으로 800m 거리에 위치한다. 또 오는 2025년 개통 예정인 수원발 KTX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C를 기반으로 철도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는 곳이다. 정부는 오산세교3의 입지 특성을 고려해 연구·개발(R&D) 업무 등 반도체산업 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인근 세교 1·2지구 거주자까지 이용할 수 있는 복합커뮤니티시설을 만들어 자족형 도시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용인이동' 신규 택지는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천리·묵리·시미리 일대 228만㎡(69만평)에 들어선다. 지구 남쪽에 용인첨단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있고, 동쪽으로는 용인테크노밸리(1·2차)와 붙어 있다. SK하이닉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도 가깝다. 용인이동 지구를 IT 인재들을 위한 생활 인프라를 갖춘 반도체 배후도시 조성이 필요한 곳으로 봤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거주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생활 인프라와 서비스를 대폭 강화해 '직·주·락(Work·Live·Play) 도시'로 조성하기로 했다. 또 구리토평 지구는 구리 교문동·수택동·아천동·토평동 일대 292만㎡(88만평)으로 들어선다. 서울과 가깝고 구리시민한강공원 바로 위쪽의 한강변으로 수변 주건단지로 조성된다. 정부는 이 같은 입지 장점을 활용해 주거단지는 한강 조망으로 특화하고, 수변 여가·레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리버프론트 시티(riverfront city)'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특히 한강변 지역을 조망·도시디자인 특화 구역으로 설정해 세계적 수준의 도시 경관을 연출하겠다고 했다. 정부는 모든 신규 택지 지구를 기존 도심과 택지지구, 산업단지와 연계해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원 녹지를 지구 면적의 30% 내외로 확보하고, 쉽게 걸어서 하천과 녹지에 닿을 수 있도록 선형 공원도 만든다. 또 지구 내 어린이집, 아이돌봄센터 등 보육시설, 병원·학원 등 지원시설이 한 곳에 모인 ‘아이돌봄 클러스터’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후보지 조사와 관계기관 협의를 지속해 필요한 경우 내년에도 광역교통망이 양호한 지역에 신규 택지를 추가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계삼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구리토평은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주요 거점도시로, 용인이동과 오산세교3은 첨단산업 성장에 기여하는 배후 도시가 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협업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오는 2025년 상반기까지 신규 택지의 지구 지정을 완료하고, 2026년 하반기 지구계획 승인을 거쳐 2027년 상반기에는 최초 사전청약과 주택 사업계획 승인을 추진할 계획이다.

부동산 한파 뚫고 경기도민 25만명 집 샀다

지난해 경기도민 중 25만명가량이 집을 한 채 이상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주택소유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 경기도 내 주택 소유자 중 직전 1년간 한 채 이상의 집을 사들인 사람은 24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그중 집 한 채를 산 사람은 23만8천명(95.7%)이었으며 두 채는 7천명(3.0%), 3채 이상은 3천명(1.4%)이었다. 같은 기간 소유 주택 수가 감소한 개인은 15만5천명이었다. 같은 날 기준 경기지역 일반가구 540만7천가구 가운데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302만4천가구로, 2021년 296만1천가구에 비해 6만3천가구(6.3%) 증가했다. 반면 무주택가구는 238만3천가구로 나타났다. 도내 총 주택은 472만5천호로, 이 중 398만8천호를 개인이 소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8%(7천호)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광주시는 개인 소유 주택 비중이 총 주택(13만6천호)의 93.4%(12만7천호)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택 소재지와 같은 지역에서 사는 소유자 비중은 감소세를 보였다. 개인 소유 주택 중 소유자의 거주지와 소재지가 같은 주택의 비중은 전국 기준 86.4%로 지난해보다 0.1%포인트 감소했다. 외지인의 주택 소유가 상대적으로 더 늘었기 때문이다.

3분기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 감소세 전환…"경기지역 부진 영향"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시장이 올해 두 분기 연속 호황을 보이다 3분기에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 전체 거래량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던 경기도 거래량이 상당량 감소하면서 향후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빅데이터 및 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은 지난 1일 기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토대로 ‘2023년 3분기 전국 및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시장 분석 결과’를 7일 발표했다. 먼저 올해 3분기 전국에서 발생한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는 총 3천399건으로 지난 2분기 3천453건과 비교해 1.6% 줄어들었다. 극심한 불황이던 지난해 4분기(2천797건) 이후 올해 1분기(2.5%)와 2분기(20.4%)까지 연속 우상향하며 회복하는 듯 했으나, 다시 두 분기 만에 하락세를 타게 된 것이다. 3분기 전체 거래금액 또한 6조8천840억원을 기록하며 직전 분기(7조7천733억원) 대비 11.4% 감소했다. 그나마 전국 17개 시·도 중 경기도에서 728건의 거래가 이뤄지며 가장 활발한 시장 모습을 띄었지만, 이마저 직전 2분기 대비 7.8% 감소한 수준이다. 거래량 자체를 놓고 봤을 때 경남(66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62건이 줄었고, 거래금액 역시 전 지역 중 최대 규모인 6천476억원의 하락액을 보였다. 경기도 부동산 시장 부진이 이번 전국적 시장 부진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도 외에도 경남(24%)과 제주(15.9%), 전북(11.3%), 충남(9.4%), 대전(8%) 등 7개 지역이 거래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거래금액 역시 총 9개 지역이 직전분기와 비교해 최소 2.4%(대구)에서 최대 36.9%(경남)까지 줄어들었다. 이 같은 경기도의 거래 약세는 서울에서도 나타났다. 서울 지역 3분기 상업업무용 빌딩 매매거래량은 총 423건으로 전분기의 389건과 비교해 8.7%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월별로 놓고 보면 지난 7월(8.8%)과 8월(22%)의 증가로 보합세를 이룬 것일 뿐, 최근 9월 한 달 거래는 전월(166건) 대비 27.1% 줄어든 121건까지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 같은 서울시의 위축된 시장 분위기는 거래금액에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3분기 전체 합산 매매거래금액은 3조1천743억원으로 2분기의 3조3천585억원 대비 5.5% 하락했고 9월 기준으로도 9천269억원을 기록, 8월(1조1천474억원)과 비교해서도 19.2% 줄어들며 3개월만에 또 다시 1조원대 밑으로 내려갔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올해 상반기까지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던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 시장이 3분기에는 하락세를 보이며 분위가 반전됐다”면서 “최근 미국 연준발 고금리 장기화 우려의 여파로 4분기 시장 상황을 낙관적으로 바라보기 더욱 어렵게 됨에 따라 연말까지 딜 클로징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매매 가격을 한시적으로 할인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