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비전경기서부지역본부, 지역종합사회복지관과 꿈디자이너사업 업무협약

월드비전 경기서부지역본부(본부장 장민권)는 부천 삼정종합사회복지관, 안산 본오종합사회복지관, 선부종합사회복지관, 시흥 목감종합사회복지관, 정왕종합사회복지관과 함께 꿈꾸는 아이들 사업의 꿈디자이너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월드비전 꿈꾸는 아이들 사업은 아동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형 통합프로그램으로, 각 협력기관이 속한 지역사회 내 아동이 꿈을 찾아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월드비전의 국내 대표사업이다. 꿈꾸는 아이들 사업 중 꿈디자이너 활동은 지역 내 아동ㆍ청소년이 자기를 탐색해 비전을 찾아갈 기회를 제공하며 인적ㆍ경제적ㆍ기술적 지원 등을 통해 꿈꾸고 도전하며 나누는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협약을 맺은 5개 복지관은 2020년부터 최소 3년간 사업을 함께 진행한다. 꿈꾸는 아이들 사업을 통해 각 지역의 아동ㆍ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진로지원을 도모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장민권 본부장은 협약을 맺은 기관이 지역사회의 인프라와 자원을 활용해 아동이 꿈을 잃지 않고 건강하고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전했다. 부천=오세광기자

10월말 전국 미분양 5만6천98채…전달 대비 6.6%↓

지난달 말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달에 비해 4천채 가까이 줄었다. 국토교통부는 10월 말 기준으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전달 6만62채보다 6.6%(3천964채) 줄어든 5만6천98채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지역별로 수도권 미분양은 8천3채로 전달(9천666채) 대비 17.2% 감소했고 지방은 4만8천95채로 전달(5만396채)보다 4.6% 줄었다. 수도권에서 서울의 미분양은 191채로 전달보다 7.7%, 경기도는 6천976채로 17.1%, 인천은 836채로 20.1% 각각 감소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부의 광역교통 개선 대책 등으로 검단과 화성 등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교통여건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미분양 물량이 많이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준공 후 미분양은 10월 말 기준으로 전달(1만9천354채) 대비 0.4% 증가한 1만9천439채로 집계됐다. 아파트 공사가 끝나 준공돼도 미분양이 해소되지 않아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후 미분양은 2014년 7월 2만312채를 기록한 이후 5년3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달 대비 6.0% 감소한 4천573채, 85㎡ 이하는 6.7% 줄어든 5만1천525채다.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은 국토부 국토교통통계누리(http://sta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불법 도박사이트로 129억 탈세…국세청, 조세포탈범 54명 명단 공개

불법 도박사이트를 운영하며 129억원을탈세한 30대 남성등조세포탈범 50여명과 거짓으로 기부금 영수증을 발급해준 단체들의 명단이 공개됐다. 국세청은 조세포탈범 54명, 불성실 기부금 수령단체 65개, 해외금융계좌 신고의무 위반자 1명의 이름 등 인적사항을 국세청 홈페이지(www.nts.go.kr)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공개된 조세포탈범은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연간 2억원 이상 탈세한 사람들 가운데 조세포탈죄로 유죄 판결이 확정된 54명이다. 이들은 도박사이트 등 불법 사업 운영, 차명계좌 사용, 거짓 세금계산서 등을 통해 지능적으로 탈세했다. 부천시 이모씨의 경우불법 도박사이트를 운영하면서 36개 계좌로 도박대금을 받고도 부가가치세와 종합소득세 129억원을 내지 않아 징역 2년(집행유예 3년)과 벌금 65억원의 판결을 받았다. 이씨를 포함해 9명의 도박사이트 운영업자가 명단에 포함됐다. 공개 대상자 54명의 평균 포탈세액은 19억원, 최고 형량은 징역 6년, 최대 벌금은 96억원이었다. 공개 항목은 조세포탈범의 이름상호(법인명)나이직업주소포탈세액의 세목금액, 판결 요지형량 등이다. 기부금 관련 단체 명단에는 거짓 기부금 영수증을 다섯 차례 또는 5천만원 이상 발급한 47개, 기부금 영수증 발급명세서를 작성보관하지 않은 14개, 상속증여세법상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1천만원 이상 추징당한 4개 단체가 포함됐다. 유형별로는 종교단체가 61개(94%)로 가장 많고, 의료법인(3개)과 문화단체(1개)도 끼어 있었다. 이들이 저지른 대표적 불성실 납세 행위는 기부금 영수증을 기부자 친척 등의 명의로 허위 발급한 경우, 출연받은 재산의 매각대금을 의무 기준에 맞지 않게 사용해 증여세가 추징된 경우 등이었다. 해외금융계좌를 타인 명의로 개설하고 사실상 관리하면서도 신고하지 않은 1개 법인 이름도 공개됐다.법인의 신고 의무 위반 금액은 79억원으로, 소송 결과 과태료를 내라는 확정판결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