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인상에 알바 고용주 10명중 8명 "고용 줄일 것"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16.4% 오른 7천530원으로 결정된 것과 관련, 아르바이트생들은 대부분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이는 반면 고용주들은 불만을 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고 있는 업주 10명 가운데 2명은 내년 고용 감축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에 따르면 지난 17~18일 전국 아르바이트생 5천804명과 고용주 352명을 대상으로 최저임금 인상 결정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아르바이트생 75.8%는 "만족스럽다"고 답했다. 그러나 아르바이트생 고용주 가운데 73.0%는 "불만"이라고 답해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문재인 정부의 공약인 '최저임금 1만원'의 달성 시기에 대해서도 아르바이트생의 경우 '2019년'이라고 밝힌 응답자가 37%로 가장 많았으나 고용주는 '2024년 이후'라는 응답 비율(35.3%)이 가장 높았다. 고용주들을 상대로 내년 사업장 인력 운용 계획을 물어본 결과 '알바생 고용을 대폭(50%) 줄인다'는 답변이 24.4%로 가장 많았고, '알바생 고용을 어느정도(10~20%) 줄인다"는 응답도 23.9%에 달했다. 또 '알바생 고용 대신 가족 경영을 고려하겠다'(20.2%), '혼자 가게를 꾸려나가겠다'(9.7%)는 응답도 많았다. 인력 운용을 현 상태로 유지하겠다고 밝힌 고용주는 전체의 20.2%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최저임금 인상 외에 원하는 근무환경에 대한 아르바이트생들의 답변은 '주휴 수당 보장'이 전체의 29.3%로 가장 많았고 ▲휴식·식사 시간 보장(27.6%) ▲최저임금 보장(20.4%) ▲임금체불 갈등 축소(11.7%) 등으로 조사됐다.연합뉴스

서해5도 여객선 운임 '파격 할인'…내년에 왕복 2만6천여원

인천시민이라면 내년부터 2만원대 왕복 요금으로 서해5도를 오갈 수 있게 된다. 인천시는 섬 여행을 활성화하고 시민 교통 편의를 높이기 위해 내년부터 인천시민을 위한 여객선 운임 할인 폭을 현행 60%에서 80%로 상향 조정한다. 대상 항로는 백령·대청·소청·대연평·소연평 등 서해5도를 포함한 11개 항로 14척 선박이다. 인천시와 여객선사가 각각 정상운임의 70%와 10%를 지원하기 때문에 승객은 20%만 부담하면 된다. 운항 거리가 먼 서해5도 여객선의 왕복 운임은 백령도가 13만3천원, 연평도가 10만9천100원으로 제주도를 항공 요금과 맘먹을 정도로 비싸다. 그러나 80% 할인 폭을 적용하면 인천시민의 백령도 왕복 운임은 2만6천600원, 연평도는 2만1천820원, 덕적도는 1만540원이 된다. 이번 운임 할인 확대 방침은 여객선 운임을 광역버스나 시외버스 요금 수준으로 낮춰 시민의 이동권을 보장하겠다는 유정복 인천시장의 공약이기도 하다. 인천시는 인천시민을 대상으로 여객운임 할인 폭을 올해 1월 50%에서 60%로 상향 조정한 데 이어, 최근 재정여건이 나아진 점을 고려해 할인 폭을 80%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인천을 제외한 타 시·도 주민은 현재처럼 인천시와 옹진군의 지원으로 서해5도 왕복 운임의 50%를 할인받을 수 있다. 인천시는 우리 영토의 끝단에 있는 서해5도의 정주 여건 개선과 관광 활성화를 위해 국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보고 정부에 예산 지원을 요청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지금처럼 여객선 운임 지원 예산을 지방비로만 부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서해5도 특별법 개정을 거쳐 국비 사업으로 운임을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반도체가 대세" 국민연금도 삼성·SK하이닉스에 투자 집중

최근 글로벌 반도체시장의 '수퍼 호황'으로 국내 증시에서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국민연금도 이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국민연금은 30대 그룹 계열사 주식에 투자한 자산의 절반에 육박하는 액수를 삼성그룹에 쏟아부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공시한 30대 그룹의 상장사에 대한 주식투자 가치(6월말 종가 기준)를 분석한 결과, 주식 보유 기업은 모두 100개사, 이들의 주식 가치는 85조4천787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말과 비교했을 때 주식 보유 기업은 5곳 늘었고, 주식 가치는 무려 17조6천62억원(25.9%) 급증한 것이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 주식 가치가 30조8천941억원으로, 전체의 36.1%를 차지해 단연 선두였다. SK하이닉스가 4조9천710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고 ▲현대차(2조8천535억원) ▲포스코(2조7천886억원) ▲현대모비스(2조3천943억원) 등의 순이었다. 대표적인 반도체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합치면 총 35조8천651억원으로, 국민연금의 30대 그룹 대상 투자자산 가운데 42.0%를 차지하는 셈이다. 작년말에 비해 삼성전자 보유주식의 가치는 무려 7조5천99억원(32.1%)이나 급증했다. 같은기간 주가가 31.9% 뛰었고, 국민연금 지분율도 0.02%포인트 오른 9.24%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 보유주식 가치도 1조7천374억원(53.7%)이나 늘었고, 삼성전기 보유주식 가치는 6개월간 무려 170.3%(5천870억원)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로는 삼성그룹 계열사 보유주식 가치가 총 38조1천138억원으로, 전체의 44.6%에 달했다. SK그룹(10조7천851억원·12.6%)과 현대차그룹(8조4천814억원·9.9%)이 그 뒤를 이었다. 국민연금의 지분율이 가장 높은 30대 그룹 계열사는 LG하우시스로, 지분율이 14.56%에 달했다. 신세계와 한섬이 각각 13.77%, 13.60%였다. [표] 국민연금의 30대 그룹 상장사 주식 투자 현황 (2017년 6월말 기준)연합뉴스

코스피 최고치 행진에 레버리지 ETF '대박났네'

2,400선을 넘어선 코스피가 최근 나흘째 사상 최고치를 새로 쓰는 등 랠리를 이어가면서 코스피 지수 추종 상장지수펀드(ETF)와 인버스 ETF 투자자들 간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특히 코스피 등락률의 2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의 경우 코스피200 레버리지 ETF와 코스피200 선물인버스2배 ETF의 평균 수익률 차이가 80%포인트가 넘는 등 간극이 더욱 벌어졌다. 19일 KG제로인이 국내 3대 자산운용사(삼성·미래에셋·한국투자신탁)의 대표적인 코스피200 추종 ETF 상품의 연초 이후 수익률(17일 기준)을 조사한 결과 레버리지 ETF는 평균 50%에 육박하는 수익을 낸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상품은 국내 코스피200의 수익률을 2배로 따라가도록 설계돼 해당 투자자는 지수가 오른 만큼의 2배 수익을 낼 수 있다. 이 가운데 미래에셋자산운용의 '타이거(TIGER) 레버리지'가 48.60%로 수익률이 가장 높았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킨덱스(KINDEX) 레버리지'는 48.08%, 삼성자산운용의 '코덱스(KODEX) 레버리지'는 47.50%의 수익을 내며 평균 수익률은 48.06%로 집계됐다. 레버리지가 아닌 코스피200 ETF의 수익률은 삼성 코덱스(22.56%), 한국투자 킨덱스(22.51%), 미래에셋 타이거(22.41%) 등의 순으로 평균 22.49%의 수익을 냈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200의 상승률인 22.05%보다 44bp(1bp=0.01%p) 높은 수준이다. 인버스 ETF는 이와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였다. 인버스 레버리지 ETF를 운용하지 않는 한국투자신탁운용을 제외한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코스피200 선물인버스2배 ETF의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은 -33.25%로 집계됐다. 200선물인버스2배 ETF는 코스피200 선물지수의 수익률과 역방향(2배)으로 움직이는 상품으로 지수가 1% 오르면 통상 2%의 손실을 떠안는다. 이 중에선 삼성 코덱스 200선물인버스2배가 -33.38%의 수익률로 미래에셋 타이거 200선물인버스1배(-33.13%)보다 조금 더 낮았다. 3대 자산운용사의 코스피200 인버스 ETF의 평균 수익률도 -17.91%로 20%에 가까운 손실을 봤다. 운용사 별로는 미래에셋 타이거 인버스(-17.81%), 한국투자 킨덱스 인버스(-17.87%), 삼성 코덱스 인버스(-18.86%) 등의 순으로 수익률이 낮았다. 김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기업 실적도 좋고 해외 연기금이 신흥국 비중을 늘리는 가운데 개인 투자자의 환매도 감소하는 등 수급상으로도 긍정적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레버리지 상품의 성과가 좋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김 연구원은 "장기적으로 좋더라도 단기적으로는 얼마든지 조정이 있을 수 있다"면서 "특히 레버리지 상품은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전문 투자자가 아닌 일반 투자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