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앞둔 과천시설공단, 또 직원채용 논란

과천시설관리공단(이하 공단)이 연간 100억여원의 적자운영으로 하반기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공단이 또 다시 정규직원을 채용하기 위해 과천시에 채용승인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7일 시에 따르면 공단은 관문 실내체육공원 내 헬스장 증축공사가 다음 달에 준공됨에 따라 2명의 직원을 확충키로 하고 과천시에 직원채용 승인을 요청했다. 이번에 채용하는 정규직원은 8급으로 연봉 2천500만원 수준이다. 그러나 공단은 정규직 126명과 체육강사 100여명 등 총 326명에 이르고 있으며 방만한 경영으로 매년 100억원의 적자운영을 해 하반기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공단이 또 다시 직원을 채용키로 하자, 일부 과천시 공무원들이 공단을 비난하고 나섰다. 과천시 한 공무원은 공단 위탁비는 과천시 전체 예산인 1천700억원 중 10%가 넘는 200억여원 수준이고 방만한 경영으로 연간 100억여원의 적자를 보고 있는데 직원을 채용하는 것은 현실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비난했다. 또 다른 공무원은 공단이 처음 설립됐을 때는 공단 직원이 80여명에 불과했는데 15년 사이에 4배나 증가했다면서 구조조정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직원을 채용하는 것은 공단 임원들이 아직도 경영의 심각성을 모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공단의 방만한 경영은 공기업 해체 수준으로 공기업의 수지율(수입과 지출의 비율)이 50% 이하이면 공기업을 해체해야 하는데 공단의 수지율은 58%로 해제 일보 직전이다. 이에 대해 공단 관계자는 관문실내체육관 헬스장 증축으로 관리직 등 6명의 직원이 필요한데 4명은 자체에서 충원하고 부족한 직원 2명만 채용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과천복합문화관광단지 조성 탄력

세계적인 규모의 쇼핑몰과 호텔이 들어서는 과천복합문화 관광단지 건립사업에 롯데자산개발(주)가 민간사업자로 참여한다. 과천시는 3일 과천복합문화 관광단지 조성 사업과 관련, 과천시청 상황실에서 경기도, 경기도시공사, 롯데자산개발(주)가 참여한 가운데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김문수 경기지사를 비롯해 여인국 과천시장, 김창권 롯데자산개발(주)대표, 김필경 경기도시공사 경영지원본부장이 참석해 양해각서에 서명하고 본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상호협력키로 약속했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으로는 롯데자산개발(주)에서 사업계획을 수립ㆍ제안하고, 과천시는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 인허가 업무를 수행키로 했다. 또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는 롯데자산개발(주)의 개발계획 수립과 과천시의 개발제한구역 해제 등 인허가 업무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등의 역할 분담을 명시했다. 과천복합문화 관광단지는 과천시 과천동 208번지 일원 18만㎡ 부지에 복합쇼핑, 숙박, 여가, 문화기능을 갖춘 복합단지로 2018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여인국 과천시장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로 과천시의 미래성장 동력의 초석이 될 과천복합문화 관광단지 조성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라며 앞으로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 롯데자산개발(주)가 수년간 쌓아온 개발 사업의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최고의 민관협력 개발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마사회, 노조와 ‘방만경영 정상화 이행’ 합의

한국마사회 현명관 회장과 장경민 노조위원장이 30일 한국마사회 대강당에서 정상화 합의서에 서명했다. 한국마사회는 공기업 중 최초로 방만경영 정상화 이행을 위한 노사 간 합의에 성공, 지난해 말 방만경영 중점관리 대상기관에 선정된 지 3개월여 만에 정상화 기관으로 거듭나는 초석을 마련했다. 지난해 12월 정부가 발표한 중점관리 기관에 한국마사회가 선정되자, 현명관 회장은 방만경영 정상화 비상대책 TF를 조직했고 지난 1월에는 방만경영 정상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 정상화 이행방안에 대한 조직 내 공감대 구축에 힘썼다. 이번에 합의된 정상화 내용은 총 53개 조항으로 정부가 중점관리 사항으로 지목한 ▲퇴직금 가산 ▲의료비 ▲교육보육비 ▲휴가휴직제도 ▲경조사비기념품 ▲경영제도 등 8대 과제로 압축된다. 대표적으로 직무상 사망시 가산해 지급하던 특별보상금과 가족건강검진비, 퇴직자 기념품을 폐지한다는 것과 직원 자녀들의 사교육비 지원을 폐지하되, 고등학생은 서울시 국공립 등록금 수준으로 조정한다는 내용 등이다. 또, 1인당 복리후생비는 919만원에서 547만원으로 축소되며 이를 통해 전년대비 45억6천만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