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서울·경기와 확진자 동선 앱 공동활용 추진

인천시가 서울·경기와 손을 잡고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을 공개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을 공동 활용한다.

26일 인천시에 따르면 서울시와 경기도는 올초부터 각각 코로나19 앱을 이용해 접촉자가 불확실한 확진자의 동선과 이동 수단 등을 공개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1월 ‘마이티(My-T)’라는 이름의 앱을 통해 개인 위치정보(GPS)와 교통카드 태그(승하차)정보, 교통수단별 와이파이 정보 등을 수집하고 개인의 이동 궤적과 확진자 이동 동선을 비교해 접촉 여부를 알리고 있다. 대중교통 운수종사자가 확진 판정을 받을 때도 해당 차량 이용객을 대상으로 알람을 제공한다.

경기도 역시 서울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코로나19 접촉 위험 알림 서비스 앱인 ‘코로나 동선 안심이’를 개발해 지난 2월부터 가동 중이다. 2주 간격으로 동선을 자동으로 비교하고 10분 이상 겹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이들 앱은 출시 2개월여 만에 이용자가 3만명에 달하는 등 호응을 얻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올 때마다 일일이 동선을 확인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알림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서울시·경기도에 협조를 구해 앱 기능을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공동생활권역인 수도권의 특성상 지자체간 공동 대응을 통해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이 경우 인천에서 서울·경기 등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이나 출장 등을 이유로 수도권 지역을 오가는 시민들도 손쉽게 확진자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확진자 동선은 안전안내문자메시지와 지자체 홈페이지에만 게시하고 있어 수도권을 오가는 개인이 지역마다 동선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인천시는 앱 공동 활용을 통해 숨은 확진자를 추가로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확진자와의 접촉 여부를 확인한 개인이 자발적으로 검사를 받으러 선별진료소 등을 방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발생한 이태원 클럽발 학원 강사 사례처럼 역학조사 과정에서 빠진 접촉자가 감염 여부를 알지 못한 채 지역을 오가며 ‘슈퍼 전파자’가 되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또 인천시는 다른 지역이 이미 구축한 앱을 공동으로 이용하면서 인천시가 자체적으로 코로나19 앱을 개발, 운영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예산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시의 마이티 앱은 개발 기간 6개월에 예산은 10억원이 들어갔다.

이를 위해 인천시는 이달 말께 서울·경기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들 앱을 통해 군·구별 확진자의 동선을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르면 이달 말께 지자체간 업무협약과 공동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다”며 “이번 공동 서비스를 통해 코로나19 방역 효과와 시민 편의를 모두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조윤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