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되면 누구나 한번쯤 조용한 곳을 거닐며 사색을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 것이다. 주변에 큰 소나무가 둘러져 있고, 넓게 잔디가 펼쳐져 있는 역사의 세계 능(陵)을 찾아 자녀들과 함께 거닐어보는 것도 이 가을 괜찮은 여가선용의 한 방법이다.
경기도내에는 현재 신라때 부터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에 이르기 까지 모두 15곳에 34기의 능이 자리하고 있다.
임금 또는 왕후의 묘인 능은 대체로 경사가 완만한고 높지 않은곳에 자리하고 있어 다리힘이 약한 노인이나 부녀자들에게도 부담스럽지가 않다.
또 역사속의 이야기까지 곁들일수 있으니 지적 탐구욕이 왕성해지는 가을 나들이터로는 제격이다.
신라시대 능으로는 도내에 유일한 경순왕릉은 연천군 백학면에 있다.
경순왕은 신라 마지막 비련의 임금으로 그 아들이 마의태자이다.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은 고양시 원당의 고릉, 조선의 마지막 왕 순종은 남양주시 금곡리 유릉에 묻혀있다.
신라와 고려, 조선시대의 마지막 왕들의 무덤에서 흥망성쇠의 쓸쓸함을 짚어보는 것도 이 가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구리시 동구동의 동구릉은 9기의 묘를 쓸 정도로 산세가 좋은 곳으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선조와 의인왕후의 목릉, 인조와 장렬왕후의 휘릉, 영조와 정순왕후의 원릉 등 그대로 조선의 역사를 개괄해 볼 수 있는 곳이다.
고양시 신도동의 서오릉에는 덕종과 소혜왕후의 경릉과 숙종과 인형왕후의 명릉 등 5기의 묘가 있고 원당의 서삼릉도 철종과 철인왕후의 예릉 등 3기의 묘를 품고 있다.
남양주시 진건면의 사릉은 영월의 단종릉을 보기를 소원하던 단종비 정순왕후의 능이고 진접면의 광릉에는 그 단종을 몰아내고 대권을 장악한 세조와 정희왕후가 잠들어 있다.
양주군 장흥면에는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의 능인 온릉이 있고, 파주시 조리면에는 4만여평의 땅에 공·순·영릉이 자리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