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단체장 판공비 큰폭 증가

정부가 IMF사태이후 소모성 경비를 대폭 줄이는 등 긴축재정을 지자체에 지시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도내 단체장들의 판공비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판공비 사용처의 대부분이 접대비, 연회비 등으로 사용, 단체장들이 혈세를 마치 자신의 개인돈처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사실은 경기도가 국회 행정자치위원회에 제출한 국감자료에서 드러났다.

국감자료에 따르면 도와 일선 시·군의 단체장 기관운영업무추진비(일명 판공비)는 올해 예산액 18억5천137만5천원으로 지난 98년 13억4천869만8천원보다 무려 37.3%인 5억267만7천원이 늘었다.

이는 정부가 IMF사태로 국가·지방재정 확충이 어려워지자 99년 예산편성지침을 통해 소모성 경비는 줄이고 필요한 사업예산만 수립하라고 지시한 것과는 역행하는 처사다.

특히 같은 기간동안 도내 공무원들의 월급은 10%이상 삭감돼 단체장들의 판공비 증액과는 상반된 현상을 보여 조직내 위화감만 조성하고 있다.

판공비 증액을 시·군별로 보면 안양시와 파주시가 지난해보다 2.9배가 많은 각 7천200만원씩을 올해 판공비로 편성했고 김포시가 1천796만6천원에서 5천40만원으로 2.8배, 동두천시가 1천855만원에서 4천770만원으로 2.6배를 증액해 수립했다.

또 수원시는 지난해 4천500만원에서 올해 1억원, 고양·용인시는 3천240만원에서 7천200만원으로 각각 2.2배가 오르는 등 경기도를 포함해 20개 지자체가 판공비를 증액했다.

반면 성남시는 지난해 7천868만원에서 올해 7천만원, 부천시는 5천100만원에서 5천만원, 평택시는 7천200만원에서 5천40만원, 의왕시는 7천200만원에서 5천184만원, 이천시는 7천200만원에서 5천만원으로 각각 주는 등 5개 지자체가 감소했고 광명시 등 7개 지자체는 동결됐다.

게다가 판공비 사용처의 대부분이 접대비, 간담회비, 행사경비 등으로 단체장들이 혈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