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이 최근 3년동안 농업인에게 줘야할 출하장려금 413억원을 주지않고 자체수익으로 처리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7일 농협에 대한 농림해양위 국정감사에서 자민련 이완구의원에 따르면 도매시장법인 또는 농협공판장 등은 농산물 출하장려를 위해 출하자에게 거래금액의 0.75∼1%의 출하장려금을 지급하고 있으나 해당 농협이 출하장려금의 일부만을 지급하고 나머지는 자체수익처리하고 있다.
지난해 전국 도매시장으로부터 농협에 입금된 출하장려금은 219억원으로 이중 38%인 82억원만 출하자인 농업인에게 지급됐고 62%인 137억원은 자체수익으로 처리했다.
지난 96년과 97년에도 출하장려금 217억, 235억원중 39%인 85억원과 91억원만 농업인에게 돌려주었으며 61%인 132억원과 144억원을 자체수익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출하장려금을 출하주에게 지급하는 조합은 지난해 1천88개조합중 424개조합이 수취한 출하장려금의 20%이하를 출하주에게 지급했으며 156개조합이 20∼40%를 출하주에게 지급해 전체의 53%인 580개조합이 40%이하를 돌려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완구의원은 “출하대금의 일부인 출하장려금은 출하주에게 지급되야 하며 조합이 제공하는 출하서비스에 대한 대가는 출하장려금에서 공제할 것이 아니라 따로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정대근농협중앙회장은 “되도록이면 출하장려금이 농업인들에게 돌아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정근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