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남북공동조사 시급하다

경기도내 법정전염병인 말라리아 환자가 4년째 급증추세를 보이면서 토착화현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 79년 박멸됐던 말라리아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감염원과 매개체인 모기가 비무장지대(DMZ)에서 남하하면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돼 말라리아 박멸을 위해서는 남북공동방역작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8일 경기도에 따르면 올들어 9월말 현재 파주 255명, 연천 204명, 고양 90명, 김포 87명 등 11개 시·군에서 950명의 말라이라에 감염돼 치료를 받았다.

이는 지난 79년 이후 박멸됐던 것으로 알려진 말라리아 환자가 지난 94년 2명의 환자가 발생하기 시작해 95년 17명, 96년 52명, 97년 314명, 98년 907명 등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휴전선 인근 지역인 연천군의 경우 지난해 172명이 감염된데 이어 올해들어 9월말 현재 204명이, 김포시도 58명에서 87명이 각각 발생하는 등 토착화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도와 이들 시·군 보건당국은 역학조사, 군과 합동방역작업을 강화하고 있지만 군사지역이란 특수성으로 인해 효과적인 방역작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게다가 말라리아의 발생추이가 북한지역에서 질병 매개체인 중국얼룩날개모기가 많이 남하하고 있고 임진강 등을 통해 감염원이 내려오면서 말라리아가 만연하고 있다.

말라리아 박멸을 위해 군·서울대와 공동조사를 펼쳤던 도는 북한과의 공동방역작업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박멸이 어렵다고 보고 이를 보건복지부에 건의했다.

보건복지부도 이에 따라 내년부터 남북한 공동역학·방역작업을 펼치기로 하고 관련 예산편성을 요구했으나 북한과의 사전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반영되지 않아 남북협력기금에서 재원을 충당하는 방안을 강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북한의 말라리아 환자 현황은 공식 보고가 없으나 지난 5월 개최된 WHO총회에서 북측대표가 휴전선 인접 3개도에서 약 2천명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