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지방공무원중 80%이상이 자신들의 생활수준이 중·하류층이나 하류층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자치위원회 이윤성의원(한·인천남동갑)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실태를 파악하기위해 인천시 공무원 1천100명을 대상으로 지난 8월15일부터 30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결과, 응답자 1천15명중 82.3%에 달하는 836이 사회계층중 공무원은 중·하류나 하류층이라고 답했다.
또 중산층이라고 답한 공무원은 17% 173명에 이르고 있으며 상류층과 중상류층이라고 답한 공무원은 각각 3명으로 0.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인해 679명의 공무원은 가계생활유지를 위해 가계대출을 받았거나 받아야할 형편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586명의 공무원은 이미 500만원에서 3천만원까지의 빚을 지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정부가 이같은 공무원의 가계안정을 위해 올 하반기부터 시행하고 있는 가계안정자금 지급에 대해서도 17명의 공무원만이 실질적인 수당인상이라고 응답했을뿐 977명의 공무원은 삭감수당 보전에 불과하다, 34명은 관심없다고 응답해 정부의 공무원 가계안정정책에 큰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구조조정 과정에서의 감축대상 기준을 묻는 질문에대해 1순위로 연금수혜자(543명), 2순위로 부서별 일률감축(392명), 3순위 무능력 공무원(254명), 4순위 부부공무원(90명) 등으로 꼽아 구조조정 방향이 크게 잘못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의원은 이같은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현재 공무원들은 구조조정 정책에 큰 의구심을 품고 있는 것 같다”며 “무조건적인 인원감축보다는 행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업무의 세분화·전문화가 추진되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정일형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