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냥철 경기도는 밀렵의 천국

본격적인 사냥철을 앞두고 밀렵 천국인 경기도 산야에 밀렵비상이 걸렸다.

이는 경기도 지역은 순환 수렵장 지정에서 제외돼 야생동물 밀도가 가장 높고 교통이 편리하다는 이유로 수도권의 밀렵꾼들이 몰려들고 밀렵행위도 대규모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기도는 밀렵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사냥철을 앞두고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태다.

24일 경기도와 사단법인 대한수렵관리협회 밀렵감시단(단장 송재호)에 따르면 밀렵감시단이 지난 사냥기간(지난해 11월∼올 3월)동안 경기도에서 총포 밀렵행위를 하다 적발된 건수만도 131건으로 전국(278건)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시·군별로는 파주시가 56건으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광주군 15건, 김포시 12건, 여주·포천군 각 9건, 연천군 8건 순이었다.

이 과정에서 밀렵꾼들은 고라니, 너구리, 꿩, 말똥가리 등 야생 동물과 함께 조롱이, 황조롱이 등 천연기념물까지 마구 포획하고 있으며, 총포외에 올무, 사냥개, 독극물 등을 이용하는 밀렵까지 성행하고 있어 실질적인 밀렵행위는 수천건에 이를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경기도에 접수된 지난 사냥철 밀렵행위는 단 2건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사냥인구가 크게 늘면서 거리가 먼 수렵순환지역(지난해 강원도, 올해 충남·북도)보다는 야생동물 밀도가 높고 교통이 편리한 경기도 산야를 찾는 밀렵꾼들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밀렵행위를 근절시킬수 있는 제도와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밀렵감시단 관계자는 “사냥철 경기도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는 야생동물 밀렵행위는 대규모이면서 조직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철저한 감시가 요구된다.”고 말했다./김창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