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예문화원이 주최하는 제3회 대한민국 화홍서예문인화대전에서 김지영씨(서울시 강서구 등촌동 632의 2 태영아파트)의 문인화작품 ‘묵죽(墨竹)’이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다.
세계문화유산인 화성에 담겨진 효의 실천적 표상인 화홍문화(華虹文化) 정신을 계승하고 미래 서단의 올바른 서예문화 진흥과 발전을 위해 개최하는 화홍서예문인화대전은 올해가 세번째로 전국에서 임서부와 창작부에 총 912점이 응모됐다.
이중 우수상은 창작부 한글에 이정자씨(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925의 7)의 ‘향리도’, 문인화에 김외자씨(용인시 수지읍 풍덕천리 현대아파트)의 ‘묵연’, 한문에 명정자씨(군포시 산본동 1151의 5)의 ‘서거정선생 시’가 차지했다. 임서부 한글에는 김병숙씨(성남시 분당구 야탑동 현대아파트)의 ‘봉서’, 문인화에 임영현씨(서울 중랑구 면목6동)의 ‘묵국’, 한문에 고수삼씨(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파트타운아파트)의 ‘석문명’이 각각 선정됐다.
대상작인 문인화 ‘묵죽’은 선연한 먹빛을 적절히 조화시켜 어우른 빼어난 작품이라는 평을 받았다. 대상을 수상한 김지영씨는 대학민국 서예대전 입선 4회를 비롯, KBS 전국휘호대회 특선 및 입선, 경인미술대전 우수상 및 특선, 신사임당 서예대전 특선 등 다양한 수상경력을 갖고있다.
올해 공모전엔 중국의 서예가들이 231점을 응모하는 등 전국 각지에서 임서부와 창작부에 모두 912점이 응모됐는데 대상·우수상외에 삼체상 7점, 특선작 130점, 입선작 220점을 선정했다.
취묵헌 인영선 심사위원장은 “예년에 비해 질적인 면과 양적인 면에서 많은 발전을 보이고 있고 화홍의 취지가 제고되었다”고 말했다.
대회 입상작들은 오는 12월16일부터 21일까지 경기도문화예술회관 대전시실에서 전시되는데 입상작이 많아 1,2부(1부 한문, 2부 문인화·한글)로 나누어 열린다.
시상식은 12월18일 오후2시에 개최되며, 중국의 저명 서예가와 문인화가인 조문희선생의 학술세미나도 열린다. 문의 (0331)256-8566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