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들이 IMF체제 이후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가운데 세금부과의 기준이 되는 표준소득률이 중소기업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업계별로 하향조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기협중앙회와 협동조합들에 따르면 직물공업협동조합연합회는 직물제조업계가 IMF 이후 수출환경의 급냉으로 인해 경영수지가 악화된데다 원부자재의 수급불안과 환율 불안정 및 단가하락으로 원가부담이 가중돼 연쇄도산의 위기에 처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견직물·화섬직물 등은 현행 5.1에서 2.8로, 모직물 등은 6.3에서 2.8로, 기계자수는 5.4에서 2.8로 99년도 표준소득률을 각각 하향조정해 줄 것을 바라고 있다.
염색공업협동조합연합회는 대부분 영세중소기업인 염색가공업계는 수출감소 및 가격하락으로 채산성이 악화된데다 생산원가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원부자재는 품질고급화에 따른 고가품 사용비율 증가로 매년 상승, 제조원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직물 및 편조원단 염색가공업·나염가공업 등은 현행 6.4에서 4.0으로 하향조정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인쇄업종(7.6)도 다품종소량 생산의 특성임에도 대기업과 비영리단체 및 지자체 등에서 수익성이 좋은 물품은 독점하고 일반인쇄의 경우 경쟁이 치열해 경영이 악화되고 있다면서 유사업종인 서적출판업(3.8), 신문 및 정기간행물발행업(4.5) 수준으로 낮춰 줄 것을 바라고 있다.
또 도금업종은 공업기반기술인데도 불구하고 주로 수주에 의한 임가공 위주로 이루어지는데다 환경보호정책에 따라 환경처리비용이 예년보다 5배 이상 증가, 경영난을 겪고 있어 8.5로 돼 있는 현행기준을 6.0으로 하향조정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와함께 우산 및 양산업종은 7.2에서 6.8로, 타이어는 7.6에서 6.0으로 각각 낮춰 줄 것을 바라고 있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