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도내 일선 시·군이 정부의 그린벨트해제지역 결정을 앞두고 해제예상지역에 대한 기초조사를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이들 지역에서 투기조짐이 일고 있다.
9일 경기도와 일선 시군에 따르면 최근 건교부가 그린벨트해제와 관련, 집단취락지역 300가구이상 또는 거주민 1천명이상 지역과 그린벨트 경계선과 접하는 부분을 우선 해제키로 한 가운데 일선 지자체별로 건축면적, 지적도서, 주민수를 파악하는 기초조사를 마무리했거나 진행중에 있다.
그러나 이같은 기초조사의 경우 경기도와 건교부를 거쳐야 하는 절차를 남겨놓고 있는데도 마치 그린벨트해제가 결정된 것처럼 소문이 나돌면서 일부 지역에서 땅값이 꿈틀거리고 있다.
시흥시 정왕동 시화신도시 역세권 주변은 기초조사실시 이전인 지난7월 평당 220만원이었으나 400만∼800만원으로 껑충 뛰는등 땅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이곳 부동산업자들은 “주거지역의 거래는 거의 없으나 역세권주변의 대지는 매물이 없을 정도”라며 “국세청의 투기단속이 시작되면서 땅소유주와 직접 거래하거나 부동산업자를 통해 암암리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그린벨트 우선해제대상지역으로 거론돼 기초조사가 이뤄진 고양시 신도·동산동의 경우 서울과 가까운 장점때문에 수요가 늘면서 지난 7월 40만∼50만원에 거래되던 것이 최고 80만원까지 올랐다.
과천시 과천동 뒷골, 남태령지역의 경우도 지난 7월 대지 350만원, 전답 70만원, 임야 20만원에 거래됐으나 그린벨트 우선해제대상지역으로 된다는 소문이 나돌면서 가격이 올랐으며 한달평균 10여건씩 거래된다고 부동산업자들은 전했다.
이밖에 하남·구리시는 해제대상지역의 소규모토지(200평미만)에 대한 거래가 이뤄지고 있으며 토지매입이나 매매를 위해 부동산업소에 문의전화를 하는 사람들도 부쩍 늘었다.
하지만 추가 땅값 상승의 기대심리로 매매는 주춤하는 추세다.
시흥지역 부동산업소 관계자는 “외지인의 문의가 늘면서 투기조짐이 벌어지고 있다”며 “그러나 소유주들이 향후 땅값상승을 기대하면서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호가를 높이는 바람에 그리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고 말했다./지방종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