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해제 방침 발표이후 땅값 상승 등 개발 기대심리가 확산되면서 그린벨트 땅주인들이 농지임대를 꺼림에 따라 임차농들이 농사지을 땅을 확보하지 못하고 불안해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그린벨트 해제예상 지역인 고양, 하남 등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으며 일부 임차농들은 재계약을 하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 이주하거나 영농을 아예 포기하고 있다.
10일 도내 그린벨트 지역 임차농들에 따르면 그린벨트 완화발표 이후 땅주인들이 그동안 3∼5년으로 장기계약하던 것을 1년으로 줄이는 단기임대 위주로 전환하고 있으며 그린벨트 해제이후 손쉽게 팔기 위해 시설물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임대료 인상이나 직접 농사를 짓겠다며 땅을 비워주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그린벨트내에서 농지를 임대해 농사를 짓는 경우 대부분 고정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시설채소나 시설화훼를 하기 때문에 단기 임대차 조건으로는 지속적인 영농보장이 되지 않아 어려움이 많고 시설물 철거 또한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따라 임차농들이 다른 곳으로 이주하려해도 마찬가지 실정으로 임대농지조건이 까다로워 영농을 포기해야 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고 있다.
고양에서 농지를 임차해 화훼농사를 하는 김모씨(45)는 “그린벨트 해제가 예상되자 땅주인이 농지위의 비닐하우스를 철거하는 조건으로 재계약을 요구해 왔다”며 “시설하우스를 하는 농업인이 시설철거를 하라는 것은 임대차재계약을 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 다른 농지를 임차하기 위해 여러 곳을 알아보고 있지만 여의치 않아 걱정이 태산”이라고 밝혔다.
하남에서 5천여평을 임대해 상추를 재배하는 신모씨(39)도 10여년이 넘도록 농사를 지어온 하우스를 올해말까지 철거해 줄것을 요구하는 땅주인 때문에 난감해 하고 있다.
임차농들은 “그동안 땅주인들의 특별한 요구가 없어 농사에만 전념을 할 수 있었으나 그린벨트 해제 방침 발표이후 무리한 요구가 많아 영농에 어려움이 많다”며 “그린벨트 해제지역의 임차농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