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9일 치러질 안성·화성 재·보궐선거의 각당 출마자들이 21일 확정됐다.
그러나 이같은 결과에 대해 찝집함을 지울 수 없다.
왜냐하면 정치권의 공천과정이 그리 투명하게 이루어지질 않았기 때문이다.
또 중앙정치권이 이번 재·보궐선거를 바라보는 시각도 주민들을 위하기보다는 자신들의 정치공방의 장으로 바라보고 있는 듯해 더욱 그렇다.
당초 여권은 후보자 물색을 하면서 안성은 야권이 유리하다며 국민회의와 자민련 모두 발을 빼다가 중반에는 지역 국회의원의 강성태도에 의해 안성·화성 빅딜설이 나돌았고 종국에는 빅딜설을 확인하는 절차로 이어졌다.
야권 역시 안성시장 출마자는 그나마 조기에 공천해 잡음을 잠재웠으나 화성군수 많은 출마예상자들에게 부푼꿈을 심어주었다가 자당의 지구당위원장을 공천함으로서 결국 자기사람 챙기기란 비난을 사고 있다.
이때문에 여권에서 공천에 탈락한 사람이나 야권에서 탈락한 사람 모두 무소속 출마를 불사하겠다는 생각을 감추지 않고 있다.
결국 정치권의 공천은 또한번 이들지역에 갈등만을 낳는 산모역할을 하고만 것이다.
정치권은 그러면서도 이번 재·보궐선거에서 옷로비니, 언론문건이니, 고문실체니 하는 등의 문제를 주요 핫이슈로 내세우겠다고 밝히고 있어 중앙정치의 추태를 지방으로까지 이어가려하고 있다.
결국 이번 재·보선은 지역주민보다는 중앙정치권이 내보낸 광대의 장이될 소지가 높다.
안성시장이나 화성군수는 지역의 작고 궂은 일을 도맡아 하면서 지역주민들의 가려운곳을 긁어주는 공복이지 정치권의 하수인이 아님을 출마자들은 지금이라도 재삼 기억해주길 바란다./정일형기자 i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