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의 편지를 쓴 이유

며칠전 자신의 이름을 이평희(47)라고 밝힌 편지 한 통이 기자에게 배달됐다.

A-4용지 3장 분량에 빼곡히 적어 내린 편지지는 그야말로 눈물겨운 한 인간의 안스런 과거사를 이내 느끼기에 충분했다.

절절한 사연인즉 이렇다. 화성군 동탄면 산척리가 고향인 이씨는 35년전 부친이 사망하면서 인근 오산으로 재가한 생모손에 이끌려 오는 바람에 다녔던 초등학교 4학년을 중퇴하게 된다. 그는 의붓아버지 밑에서 눈치밥을 먹으며 자식이 아닌 머슴으로 13년동안 농사와 허드렛일에 혹사당하며 갖은 고생을 감수해야만 했다. 지옥같은 더부살이를 더 이상 참을 수 없었던 이씨는 20대중반 가족과 고향을 등지고 무작정 가출했다.

그는 부초처럼 여기저기를 떠돌아 다녔고 90년무렵 마지막으로 얻은 안산 모부동산 사무소에서 운전기사로 일하던중 93년초 어느날 모직원이 준 도시계획도면 한장을 손에 넣게 된다. 그러나 이 도면 한장이 이씨와 자신의 가정을 파산시키고 그마저 장애인으로 만든 불씨가 됐던 것. 한동안 오산지역을 떠들썩하게 했던 오산시 도시기본계획도면 유출사건(본보 93년6월22일 보도)이 발생하면서 경찰이 용의자중 1명으로 자신을 지목, 1주일동안 여관에 감금한채 협박과 폭력, 강압수사를 했다고 이씨는 주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을 만나러 온 부동산업자 박모씨가 여관방에 들러 신문지에 싼 현금 2천만원을 놓고 갔지만 이 돈의 행방이 묘연해졌다며 출처를 밝혀야 하지 않겠느냐고 이씨는 적고 있다.

당시 사건이후 무혐의로 풀려났으나 가정이 파산하면서 흩어진 처자(妻子) 소식도 끊기고 자신의 몸도 망가져 장애인으로 전락한 이씨.

그가 6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암울했던 과거사를 들춰내며 눈물의 편지를 쓴 이유는 왜일까./오산=조윤장기자(제2사회부) yjch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