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분업 대비 약값마진 인하 폐업위기

정부가 내년 7월1일 의약분업 실시를 앞두고 병원의 약값 마진을 단계적으로 줄이고 있는 가운데 병원 수익의 약가 의존도가 높은 인천지역 상당수 병원이 폐업위기에 이를 전망이다.

16일 인천시 의사회에 따르면 현재 인천지역에는 종합·준종합 병원 24개를 비롯해 모두 855개의 병원(한의원, 치과 제외)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병원들은 총 수입의 20∼60%를 차지하는 약값 마진이 지난달 15일부터 30% 삭감된데다 내년 2월15일부터는 단 한푼의 약값 마진도 붙일수 없게 되는 사실상의 의약분업 체제를 맞게돼 운영난이 날로 심화하고 있다.

특히 약값 마진이 총 수입의 50∼60%를 차지하는 115개 소아과, 85개 내과, 피부·비뇨기과 등 인천지역 상당수의 개인병원들은 내년 2월15일 이후 심각한 운영난에 봉착, 집단 폐업 사태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져 ‘2월 의료대란’ 까지 우려되고 있다.

하루 평균 50여명의 환자를 진료하는 있는 A내과(인천시 남동구 구월동)의 경우 내년 2월 이후 월 평균 매출이 750여만원(1인 평균진료비 4천810원, 약관리비 350원, 처방비 등 포함 6천원×50명×25일) 에 불과, 인건비와 사무실 임대료 등 운영비(900만원)에도 못미치는 등 대부분의 개인병원들이 비슷한 실정이다.

또 대형 종합병원 등도 연간 100억∼200억원의 매출손실이 불가피해져 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이와관련, 인천시 의사회 관계자는 “국민들의 약품 과·오용을 막기 위한 의약분업 실시에 대해서는 공감을 하지만 현 병원 실정에 맞는 대안책이 마련되지 않는한 내년초 개인병원들의 연쇄 폐업사태는 불가피한 실정” 이라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