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일부 시·군 물가관리 엉망

경기도내 일부 시·군이 물가안정을 위한 모범업소에 지급할 인센티브 예산을 확보치 않는가 하면 물가안정을 위한 캠페인을 전개치 않는 등 물가억제정책에 등한시, 도내 물가지수가 전국 평균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11월말 현재 도내 소비자물가지수는 1.9%로 전국 평균 1.4%보다 0.5%포인트가 높았고 개인서비스요금은 0.1%로 전년 동기(-0.4%)보다 높았다.

이는 도가 설정한 도내 소비자물가 목표 3%보다는 낮은 수치이지만 전국 평균치보다 높아 물가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도가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지방물가안정대책 평가결과에서 대부분의 시·군이 모범업소에 대해 부분적인 인센티브제를 활용해 지방물가 안정시책을 펴고 있는 반면에 평택·구리·오산·이천시와 양주군은 이같은 예산을 단한푼도 확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성남·의정부·고양·남양주·광명시 등은 지방물가안정을 위한 캠페인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반면에 수원·부천시는 캠페인조차 실시하지 않았고 화성·광주·연천·양평군은 지역특성에 맞는 시책을 추진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도는 이와함께 새해 총선 및 원유가 인상,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증대로 물가인상요인이 상존하고 있자 지방물가안정에 미진한 시·군에 대해 재정차등지원 등을 강구할 방침이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