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3당은 내년 4월의 16대 총선에 대비, 후보자들에게 충분한 준비시간을 주고 조직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로1월말까지 공천을 마무리한다는 목표아래 각각 본격적인 공천작업에 착수했다.
여야는 특히 현재 진행중인 선거법 협상이 자칫 장기화할 우려가 있다고 보고 협상타결 이전에라도 소선거구제를 전제로 가능한 지역부터 단계적으로 공천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3당은 또 각종 여론조사에서 드러난 유권자들의 투표성향과 지지도를 감안, 현역 의원 및 지구당위원장에 대한 대폭적인 물갈이와 함께 지역적 ‘특화 공천’ 전략을 짜고 있는 것으로 27일 알려졌다.
공동여당인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현실적으로 연합공천 지역이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는데다 양당의 후보영입 일정 차이 등을 고려해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일단독자적 공천작업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국민회의는 ‘새천년 민주신당’의 조직책선정위 주도로 시작한 64개지역의 조직책 공모를 28일 마감, 연내에 확정 발표함으로써 내달 5일부터 지구당 창당대회에착수해 내달 20일 창당때까지 법정지구당 창당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어 12월31일부터는 모든 지구당으로 조직책 공모를 확대, 1월초순 마감한 뒤출마 희망자간 경쟁력 차이가 큰 곳은 심사가 끝나는 대로 단계적으로 조직책을 임명해 선거준비에 착수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그러나 신청자간 경합이 심한 곳이나 자민련과의 연합공천 필요성이 있는 곳 등은 신당의 중앙당 창당대회 이후로 미루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국민회의는 이와함께 서울과 수도권에서는 유권자들의 인물중심 투표성향을 감안, 전문경영인, 법조인, 방송인을 비롯해 각 분야의 직능대표 위주로 공천하고, 취약지인 영남권은 지명도가 높은 현역의원과 구여권 고위관료 출신을 투입하며, 지지기반인 호남권은 신당 이미지 제고를 위해 신진인사 위주로 공천할 방침이다.
자민련도 김종필(金鍾泌) 총리가 당에 복귀하는 내년 1월10일께까지 중진급 인사들에 대한 1차영입을 성사시킨다는 목표아래 한나라당 이한동(李漢東) 고문의 영입성사를 계기로 영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자민련은 1월말까지 보수색채 강화를 위해 전직관료, 예비역 장성, 언론계, 보수단체 대표 등을 대상으로 2-3차례 추가영입작업을 벌여 조직책을 내정한 뒤 2월초부터 지구당 개편에 돌입할 계획이다.
특히 자민련은 지지기반인 충청권에서 공천자의 80% 이상을 당선시킨다는 목표아래 철저하게 당선 위주로 공천하고 취약지인 수도권과 영남권의 경우 현역의원과 영입인사들을 중심으로 공천할 방침이다.
한나라당은 지난주부터 36개 사고지구당 정비작업을 필두로 공천작업에 본격 착수했으나 당내 계파간 지분 경쟁 때문에 심사 과정에서 갈등이 불거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회창(李會昌) 총재는 총선을 계기로 차기 대선구도를 공고히 한다는 장기전략아래 직접 외부인사 영입에 나섰으나 현역 의원 및 지구당 위원장들의 반발을 우려, 영입의 규모와 윤곽 등에 대해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영남권의 경우 대체로 현역의원 중심 구도를 유지하되, 탈당에 따른 일부 사고지구당은 명망가 중심의 ‘표적공천’을 통해 수성에 주력하고 수도권은 인물의 적격성과 당선 가능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주자로 내세울 방침이다.
이 총재의 한 측근은 “우선 사고지구당을 중심으로 경합이 심한 10여개 지역에 대해 1월초까지 후보를 결정키로 했다”면서 “선거구제 확정과 여권의 신당 공천윤곽이 드러나게 될 하순까지는 여론조사를 토대로 선거구별 후보확정이 대체로 마무리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