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4·13 총선공약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특히 여야는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IMF사태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서민과 중산층의 생활안정을 위한 공약 제시가 총선 승리의 지름길이라고 판단, 민생·경제안정을 위한 공약 개발에 집중하기로 했다.
국민회의와 새천년 민주신당은 김대중 대통령 지시에 따라 신당이 중산층과 서민층을 대변하는 정당임을 적극 부각시키기 위해 정책 공약을 개발 오는 20일, 창당대회에서 ‘21세기 정책비젼’으로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민주신당은 이 같은 총선 공약 개발을 위해 창당준비위원회의 11개 특별위원회를 적극 활용, 분야별 간담회를 통해 현안 과제를 수립하는 한편, 시·도별 당정협의회를 통해 파악한 지역 실정을 바탕으로 한 지역 공약도 수립중이다.
이에 따라 신당은 오는 10일까지 11개 특위의 정책현안 과제 수집을 벌이고 13일에는 정책분과위 주최로 ‘생산적 복지정책의 추진방향’이란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 교육 의료,주거 등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자민련도 중산층과 서민층 표의 향배가 총선에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자신들이 ‘보릿고개’를 극복한 개발주도세력의 맥을 잇는 정당임을 국민들에게 부각시키기 위한 민생·경제공약을 제시한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자민련은 인력감축 위주의 구조조정은 지양한다는 기조 아래 SOC 투자 확대, 벤처산업육성을 통한 경기부양과 고용창출, 세제 지원, 주택부문 융자 확대, 농어촌 정책자금 상환 연장및 이자율 인하 등을 주용 공약으로 내세운다는 방침이다.
한나라당은 현재 진행중인 시·도지부별 지역 현안 수렴과 정부의 경제정책 실패 사례에 대한 분석이 끝나는 대로 이달 중순부터 물가안정,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중심지원, 전화세 폐지, 전기료 인상 반대 등 구체적인 정책 공약을 마련중이다.
한나라당은 특히 ‘집권 경험을 갖춘 야당’의 면모를 갖추기위해 과거 경제각료 출신 의원들과 경제·시회분야 영입인사들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이민봉·이재규기자 mb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