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절약정책 인식부족 헛구호에 그쳐

인천시가 지난해 에너지 절약을 위해 ESCO(ENERGY SERVICE COMPANY-에너지 절약 전문기업을 통한 절전)사업을 시행키로 했으나 산하 사업소와 구청의 인식부족으로 현재까지 계획조차 수립하지 못하는등 에너지 절약정책이 헛구호에 그치고 있다.

10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ESCO사업을 벌이기로 하고, 국내에서 이사업을 벌이는 4개 업체에 의뢰해 시산하 33개 사업소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벌인 결과 상수도사업본부 등 21개 기관에서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됐다.

이에따라 시는 해당 사업소를 대상으로 사업계획서 수립을 요구했으나 인식부족으로 현재까지 이를 제출한 곳은 전무한 실정이다.

전력소모가 많은 상수도사업본부의 경우 연간 17억원 이상의 절전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에도 아직 세부계획조차 수립하지 않고 있다.

또 서구청은 절전비용 산정 등 절차가 번거롭다는 이유로 무료로 할 수 있는 ESCO사업을 외면한채 4천여만원의 구비를 들여 일반업체에 공사를 발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관련, 시 관계자는 “지난해 5월 ESCO사업을 계획하고 일선 행정기관에 사업계획서 수립을 요구했으나 현재 인식부족으로 사업계획서가 전달되지 않고 있어 시행이 늦어지고 있다” 고 말했다.

한편 ESCO투자사업은 에너지절약 전문기업이 에너지절약시설에 대해 선투자를 하고 향후 5년여에 걸쳐 절전된 부분에서 사업비를 회수하는 것으로 일선 기관은 돈을 투자하지 않고도 에너지 절약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 사업비가 회수된 5년이후에는 투자시설 소유권이 해당 기관으로 이전돼 이때부터 발생하는 절감비용은 사용자 몫으로 남게되는 것으로 현재 에너지관리공단이 적극 권장하고 있는 사업이다./이영철기자 wyatt@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