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의 상징인 노숙자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가운데 일선 자치단체의 노숙자 복지대책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재활프로그램 보다는 무조건 수용위주인데다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는등 겉돌고 있다.
14일 경기도와 노숙자 쉼터에 따르면 지난 97년 12월 IMF사태이후 급증한 노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수원 ‘나눔의 집’, 성남 ‘해뜨는 집’등 도내에 모두 11곳의 노숙자 쉼터가 설치돼 현재 200여명의 노숙자가 생활하고 있다.
그러나 노숙자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사회복귀가 어려운 노숙자와 사회복귀가 가능한 노숙자들을 함께 수용해 노숙자에게 체계적인 재활 프로그램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서울시 등 일부 다른 광역자치단체의 경우 ‘노숙자전담반’을 편성,쉼터를 거쳐간 노숙자에 대해 체계적인 사후관리를 펼치고 있으나 경기도는‘내보내면 그만’이라는 식으로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
일선 자치단체의 쉼터지원금 늑장지급도 문제다.
수원시는 지난해 11월초 지급해야할 관내 6개 쉼터의 두달치 운영비를 12월31일 늑장 지급해줘 운영자들을 애타게 했다.
이와함께 생활보호대상자로 지정되지 않아 보험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몸이 아플 경우 제대로 치료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수원시내 노숙자 쉼터의 한 관계자는“행정기관에서 노숙자들을 위한 직업훈련, 생활보호 대상자지정, 의료문제 등을 약속해 놓고 뒷짐지고 있다”며 “치료나 수용, 자활프로그램 차별화 등 노숙자들이 사회일원으로 일어설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신현상기자 hsshi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