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에 제출되는 일선 시·군의 서류가 엉터리로 허위 작성되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바가 크다.
이는 이들 서류가 예산 편성과 집행 그리고 정책 입안시 주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특히 이를 토대로 일선 시·군 현황을 파악하고 또 각종 사업을 지원하면서 효율적인 지도 감독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어떤 서류보다 사실적이어야 한다.
감사 제출용 자료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지금 도에 제출되는 일선 시·군의 서류들이 사실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다.
문제의 심각성을 더 해주는 부분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도는 대책 마련은 커녕 구조조정에 따른 업무 분장시 주무부서가 명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등 이해할 수 없는 변명만 하며 이 모든 책임을 해당 시·군에 떠넘기기에만 급급하다.
도 감사부서도 마찬가지다.
잘못된 업무를 찾아내 바로 잡아야 할 책임이 있는 이들 또한 “계수 작업시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인데 뭘 그러냐”며 강건너 불구경만 하고 있다.
도에는 지금 ‘경기의제 21’ ‘벤처 및 지식산업 육성’ ‘경기북부지역 개발계획’등 투입 예산만도 수조원에 달하는 굴직한 사업들이 가시화되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허위로 작성된 서류를 근거로 계획을 수립해 추진하는 사업들이 과연 얼마만큼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인구 1천만명을 내다보는 웅도 경기도청에는 오늘도 사실과 다르게 작성됐을지 모를 일선 시·군의 서류들이 속속 들어오고 있었다./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