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들의 공천부적격자 발표를 계기로 경실련경기도협의회의 활동방향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경실련경기도협의회는 수원, 안산, 광명 등 5곳에 지역조직을 두고 모두 1천여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초매머드급 NGO.
올해 으뜸 화두는 단연 정치개혁이다.
앞으로 ‘후보자바로알기운동’을 펼칠 계획이다.
의정활동, 개인신상은 물론 납세실적, 재산, 전과기록 등 모든 정보를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개해 유권자들의 판단을 돕도록 한다는 것.
특히 오는 4.13총선을 앞두고 1월 출범을 목표로 관내 시민단체와 연대해 공명선거 캠페인을 벌이기 위해 바삐 움직이고 있다. 모두 13∼15개 단체가 참여할 예정.
경실련 관계자는 “공천부적격자로 공개된 일부 정치인의 경우 직접 전화를 걸어오고 있다”며 “앞으로 어떤 반대여론에도 굴하지 않고 당당하게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실련은 그동안 지역사회에서 행정기관 감시자로서 견인차 역활을 독톡히 해왔다.
가장 주목을 끈 것은 지지부진하던 수원월드컵 경기장건설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사실. ‘2002년 수원월드컵시민리포트’를 발간, 수원월드컵의 문제점을 진단해 구장건설, 법인설립을 이끌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민의 눈으로 예산을 본다’란 모토아래 수원시 예산사용 실태를 면밀히 파헤친 보고서를 발간해 결국 수원시의회가 2000년 예산 120억원을 삭감토록 이끌어내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경실련은 최근 시장·군수의 판공비사용실태를 밝혀내기 위해 도내 31개 자치단체를 상대로 행정정보공개신청서를 낸 상태다. 시민의 혈세가 제대로 쓰이고 있는지 감시하기 위해서다.
박완기사무처장(35)은 “지금까지 일선 시·군을 중심으로 한 감시활동에서 벗어나 경기도는 물론 경기도의회로 활동반경을 넓히겠다”며 “특히 회원확장운동을 통해 명실상부한 시민의 대표단체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심규정기자 kjshim@kgib.co.k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