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한파와 부의 불균형 분배가 1년 사이에 경기도내 빈곤층을 2배로 늘리는 타격을 입혔다.
경기도가 14일 밝힌 도내 한시생활보호대상자의 추이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 도내 한시생보자는 7만9천989가구 20만7천45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98년말 현재 10만8천614명인 한시생보자보다 1.9배인 9만8천843명이 늘어난 수치다.
시·군별로는 성남시의 경우 98년말 6천571명에 불과하던 한시생보자가 지난해말 2만2천121명으로 3.3배가 늘었고 수원시가 5천219명에서 1만4천275명으로 2.7배가 증가했다.
또 의정부시가 지난해말 9천195명으로 98년 3천599명보다 2.5배가 증가한 것을 비롯해 IMF영향이 컸던 도시지역인 안양시가 4천19명에서 1만575명으로 2.6배, 부천시가 6천896명에서 1만5천902명으로 2.3배가 각각 늘었다.
안산시도 2.7배(1만5천370명), 광명시 2.1배(7천601명), 시흥시 2.1배(5천388명), 평택시 2배(1만2천456명), , 고양시 1.6배(1만228명) 등이 늘었다.
반면 IMF로 인한 실직 등의 영향이 적었던 농촌지역의 경우 양평군은 98년말 2천995명에서 지난해말 3천387명으로 13%가 늘었고 가평군은 2천787명에서 3천300명으로 18%, 포천군은 3천987명에서 4천380명으로 46%가 각각 늘어나는 등 증가폭이 적었다.
이처럼 한시생보자가 크게 늘어난 것은 각 시·군이 한명의 실직자라도 더 보호하기 위해 한시생보자 찾기에 나선 것도 있지만 IMF한파로 인한 가정경제파탄이 회복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고 기형적인 경제구조나 부의 분배구조로 빈곤층이 더욱 늘어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앞으로 이같은 분배구조가 지속될 경우 빈곤층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올해부터 한시생보자의 대상기준을 확대한데다 오는 10월부터 시행되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빈곤층에 대해 자활능력을 키우는 생산적 복지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한시생보자사업은 정부가 지난 97년 하반기부터 IMF영향으로 실직자가 되거나 자영업을 하던중 문을 닫아 생활이 어려운 가정을 돕기 위해 생활비를 보조해 주고 있는 복지사업이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