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단발표 여파 총선전략 전면 재검토

여야 3당은 총선시민연대의 공천반대 명단 발표가 큰 반향을 일으킴에 따라 선거구도 및 여건에 변수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기존 총선전략의 전면 수정에 착수했다.

여야는 특히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총선연대의 명단이 선거결과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수도권의 경우 명단에 포함된 중진인사들의 대폭적인 물갈이를 해야한다는 판단이다.

또 총선연대 등 시민단체의 선거개입 활동이 전·현직 의원뿐 아니라 공천 신청자에 대한 검증과 유권자 권리찾기 운동과 낙선운동 등으로 강화되는 추세에다 청년층의 지지·참여 열기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 이들에 대한 공략방안 마련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에에따라 여야는 인터넷의 발전과 청년층의 선거관심이 접합되고 있는 점을 감안 선거운동 방식도 조직·홍보물 뿐 아니라 이른바 사이버 공간을 적극 활용하기 위해 인터넷 방송국 개설, 중앙당 차원의 후보 홈페이지 제작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함께 민주당의 내각제강령 문제 및 총선연대의 명단발표 등에 따른 자민련의 반발과 차별화 전략 강화로 당초 ‘2여1야’체제이던 선거구도가 사실상 ‘3각체제’로 굳어짐에 따라 대응책 마련에도 부심하고 있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25일 “여론조사에서 시민단체의 낙천운동에 대한 국민의 지지도가 90%로 나타나고 있어 추세를 따르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으며 더 나아가 이미선정·발표한 조직책에 대한 재검토까지 시사했다.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의 한 측근도 “시민단체 명단발표 밑바탕에는 정치권 개혁에 대한 국민 욕구가 깔려 있으며 정치권 개혁의 핵심은 결국 사람을 바꾸는 것”이라며 “당도 그런 물결을 가능한 많이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자민련은 총선연대의 명단 자체에 대해 격렬한 거부반응을 보이면서도 수도권 공천에서 이를 반영하지 않을 수 없을 것으로 내부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여야 3당은 선거구획정이 사실상 종결됨에 따라 본격적인 공천심사를 진행하기로 했으나 시민단체들의 공천신청자 검증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병무비리 수사와 비리혐의 정치인 18명에 대한 재판도 진행되는 상황을 감안, 내달 하순 실제 공천을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민봉·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