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련 공동정권 철수 '최후의 카드'

자민련이 공동정권 철수라는 ‘최후의 카드’를 꺼내보일지 정가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자민련이 총선시민연대의 낙천대상자 명단 공개를 청와대와 새천년 민주당의 ‘자민련 죽이기’로 규정, 청와대와 민주당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는 등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자민련은 25일 이한동 총재권한대행 주재로 당 5역회의를 열어 오는 27일로 예정된 김대중 대통령과 자민련 김종필 명예총재 및 이한동 대행간의 청와대 조찬회동에 불참키로 하는 등 ‘실력행사’에 나섰다.

아울러 자민련은 오는 27일 국회 헌정기념관 대강당에서 헌정질서수호 결의대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결의대회는 사실상 ‘시민단체 활동을 법률로 규제할 수 없다’고 한 김 대통령을 직접 겨냥한 것이다.

이와 관련, 핵심 관계자는 “공동정권의 한 축인 김종필 명예총재까지 낙천 대상자 명단에 포함시킨데는 자민련을 고사시키려는 정치적 음모가 도사리고 있는 것 아니냐”며 “그쪽(청와대와 민주당)에서 정 그렇게 나온다면 우리도 강하게 나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자민련으로서는 더 이상 밀릴 수 없으며 최악의 경우 ‘공조파기’까지 불사할 각오로 대 민주당 공세를 펼치겠다는 의지를 밝힌 셈이다.

시민단체의 명단 공개 배후에는 여권 핵심부가 관여돼 있고, 이는 자민련을 고사시켜 총선국면을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양자 대결구도로 몰아가려는 정치적인 음모가 도사리고 있다는게 자민련측의 시각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차제에 민주당과의 공조관계를 청산하고 보수세력 결집을 통해 보수와 혁신의 대결구도로 정계를 재편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명단 공개후 자민련에는 오히려 ‘청와대가 ‘JP 죽이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 ‘보수세력이 궐기해야 한다’는 등의 충청권과 보수성향의 자민련 지지자들로부터 지지전화가 쇄도하고 있다고 당 관계자들은 전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결국 낙천자 명단 공개로 촉발된 자민련의 ‘분노’가 ‘공동정권 철수’로까지 이어질지 여부는 청와대와 민주당측이 자민련의 반발을 무마시킬 수 있는 카드를 제시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