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주초 신년회견을 갖고 정국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이 총재는 회견준비를 사실상 마친채 선거법 개정안 처리 및 ‘음모론’을 둘러싼 2여 갈등의 전개상황 등을 지켜보며 시점을 저울질 중이다.
자민련의 시민단체 낙천자 명단 ‘음모론’ 제기에 따른 2여 갈등증폭, 시민단체 낙선·낙천운동, 31일로 예정된 국회 본회의 선거법 처리의 불투명성 등 당장 하루도 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전개되고 있는 정치권 주변상황의 ‘유동성’을 감안해서다.
실제 회견을 하면 이같은 현안에 대한 입장 표명이 불가피하고 자칫 성급한 발언으로 향후 한나라당의 정국 대응과정에서 운신의 폭을 스스로 제약하게 될 가능성도 적지않다는 판단인 것이다.
그러나 이들 현안의 조속한 정리가 사실상 어렵다는 점에서 이 총재의 회견은 현안에 대한 구체적 접근보다는 총선을 의식한 대여공세와 함께 정국전반에 관한 원론적 입장표명 수준에 그칠 공산이 크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이 총재는 회견에서 특히 4.13 총선의 현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적 의미를 강조하고 김 대통령의 총선 공정관리를 요구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 정부 집권 2년이 지난만큼 시민단체들이 겨냥하고 있는 개별 ‘구태’의원들의 교체문제보다는 현정부가 추진해온 각종 정책의 공과에 대한 평가가 요체가 돼야한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회견에서는 총선쟁점의 전환을 위한 전략적 고려아래 현정부의 ‘실정’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김 대통령의 당적이탈 및 각 정부기관, 산하단체의 총선 불개입을 거듭 촉구하고 이 문제를 김 대통령과 현 정부의 총선 공정관리 의지를 가늠할 잣대로 삼겠다는 내용도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또 객관적이고 투명한 공천을 다짐하고, 이번 총선을 새정치 실현을 위한 계기로 삼겠다는 의지를 피력하면서 당내 각 계파의 무리한 지분요구에 대해 간접 경고하는 내용도 있다는 후문이다.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