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하천 수질개선 종합대책 절실

경기도내에 있는 대형 하천의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상류쪽 소하천에 대한 종합적인 수질관리대책이 우선적으로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기개발연구원은 31일 진위천(안성군), 안성천(화성군), 황구지천(수원시), 복하천(이천시) 등 경기도내 4개 대형 하천의 상류쪽 소하천 5곳에 대한 오염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결과에서 진위천 상류인 천천의 경우 6차례에 걸친 수질 측정에서 2∼4급수로 나타났고 질소와 인의 함유량을 보여주는 영양염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했다.

특히 천천은 2차례에 걸친 생태조사에서 조류 및 수서곤충은 발견됐으나 어류는 출현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돼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안성천 상류의 금석천, 황구지천 상류의 원천천과 신갈천, 복하천 상류의 관리천 수질도 3∼5급수로 각각 수질이 악화됐다.

사정이 이런데도 하천을 관리하는 화성군 등 일선 시·군은 축산폐수 배출량과 사육 가축수 등 수질 오염의 주원인이 되는 기초 자료조차 확보하지 않은 것으로 지적됐다.

이밖에도 금석천과 신갈천은 생활하수와 산업폐수 유입을 막기위한 차집관거 등의 시설이 시급했다.

특히 구리 등 중금속 유입으로 인한 오염을 막기위해 하천변 세차장과 주유소 17곳에 대한 특별관리가 요구됐으며 이 상태로 계속 방치되면 농업용수로도 사용 못할만큼 수질이 악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5월부터 10월까지 서울대, 경희대, 수원대, 한경대 등 4개 대학과 공동으로 실시됐다.

경기개발연구원은 앞으로 매년 지속적인 공동 기초조사 및 연구를 통해 도내 소하천에 대한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그 결과를 토대로 지역 실정에 적합한 수질관리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와관련, 성현찬 연구원은 “대형 하천의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상류쪽에 있는 소하천의 종합적인 수질 관리대책이 우선적으로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